/////
Search

2022년 11월 16일 수요일 16시

참여인원

곽철민, 김지수, 이연재, 이도현, 장서현
→ 조문주님은 개인 사정으로 불참하셨습니다.

피드백 사항

<흥미로웠던 부분>

기존에 mvc 패턴으로 구동하던 웹 서버를 RestAPI로 바꿔가는게 흥미로웠다.
JPA에서 Repository 메소드 부분에서 명명 규칙을 지켜줌으로써 다양한 조회 쿼리를 쿼리를 직접 짜지 않고도 쿼리문을 만든것과 같이 동작하는 점이 흥미로웠다.
Pageable 인터페이스와 @PageDefault 어노테이션을 활용하여 페이징 처리를 간단하게 해주는 부분이 흥미로웠다.
RequestDTO와 ResponseDTO를 굳이 나누지 않고, 엔티티와 관련된 단일 DTO 오브젝트를 만들어서 요청, 응답의 경우에 공통적으로 사용하는게 더 좋지 않나? 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요청과 응답의 경우 각각 필요한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다.

<새롭게 알게 된 점>

RestAPI가 UI없이 JSON형식으로 데이터를 리턴해준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됐다.
Controller와 Repository 사이에 Service가 들어가야 한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됐다.
controller도 테스트를 할 수 있다는 사실과 view에서 db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dto와 entity를 구분하는 것 이외에 db에서 view로 전달할 때도 구분을 해줘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Controller와 @RestController의 차이점을 알게 됐다.
차이점 참고

<힘들었던 부분>

오늘 했던 TDD기반으로 기능 추가하는 부분이 이해가 안가서 힘들었다.
controller 테스트를 진행할 때 사용하지 않았던 메소드들이 많이 등장하면서 import문제를 많이 겪어 수업을 좀 따라가지 못한 점이 있었다.
dto를 entity로 변환, entity를 다시 응답 dto를 반환하는 로직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처음에 많이 혼동되었다. 지금까지의 결론은 dto를 엔티티로 변환하는 로직은 서비스 계층, entity를 응답 dto로 변환하는 로직은 도메인 계층에 만들어주거나, 그냥 서비스 계층에서 응답 dto 객체를 새로 생성하는 방식인데, 둘 중 어느 방법이 더 나은지는 좀 더 공부해야할 것 같다.
Mockito를 활용하여 TDD를 하는 방식이 아직은 익숙치 않다.

<노력해야 할 점>

유튜브 영상과 책을 통해 복습을 해야겠다.
테스트 코드를 예제를 참고하지 않고 작성할 수 있도록 복습하고, 각 메소드들이 어떻게 사용하는지 정확히 알아야 할 것 같다.
Mockito를 활용하여 TDD를 하는 방식이 아직은 익숙치 않아서 교재와 여러 레퍼런스를 참고하면서, 익숙해지려고 노력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