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인원
•
곽철민, 김지수, 이연재, 조문주, 이도현, 장서현
피드백 사항
<흥미로웠던 부분>
•
갯랩을 이용해서 파이프 라인을 만들고 배포를 자동화 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
CI/CD 환경을 구축하면서, 다양한 리눅스 명령어와 crontab이라는 리눅스 기능까지 알 수 있어서 유익한 시간 이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CI/CD 환경을 구축하며 더욱 익숙해져야 할 것 같다.
•
깃랩으로 협업하는 방식이나 자동 배포를 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
스프링 시큐리티 인증과 인가를 공부했는데 시큐리티 라이브러리로 메서드를 직접 구현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을 가져다 쓸 수 있는 부분이 흥미로웠다.
•
빌드부터 배포의 자동화 과정에 대해서 새롭게 알게 되었고 깃에서 블로그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지만 만드는 과정에 대해서 새롭게 알게 되었다.
<새롭게 알게 된 점>
•
변수를 깃랩에 등록 할 때 Protect variable을 체크하면 변수가 안 넘어가서 체크를 해제 해야 한다는걸 알게 됐다.
•
JPA Auditing을 배우면서 BaseEntity를 생성했었는데 관계형 db에는 상속 관계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조인 모델, 단일 테이블 모델, 구현 클래스 마다 테이블 구축이라는 3가지 모델로 상속 관계와 최대한 유사한 db 모델링을 구현한다. 이 때, BaseEntity는 여러 엔티티에 속하는 공통 속성을 정의해두고, 공통 속성(생성일, 변경일 등)을 포함하는 엔티티에서 상속 받아 사용하게 하고 @MappedSuperClass 어노테이션을 활용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
삽질을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 중 하나는 절차적으로 하나하나 따져보는 것이다.
<힘들었던 부분>
•
crontab을 사용해서 일정시간 마다 실행시키고 로그에 저장시키는 부분이 자꾸 에러가 나서 힘들었다.
•
오늘 깃허브 페이지 제작 과정에서 뭔가 나올 법한 에러들이 계속해서 나서 힘들었다.
•
알고리즘 뼈대는 대충 보이는 것도 같은데 계속 채워야 할 게 나와서 어렵다
•
DP를 활용하는 부분이 어려웠다.
•
DP를 활용하여 문제 푸는 것이 아직 익숙하지 않아 힘든 것 같다.
<노력해야 할 점>
•
알고리즘 시험 대비로 주셨던 문제들을 이번주 안에 다 풀고 시험을 보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할 것 같다.
•
스프링 부트 핵심가이드 책에서 개념이 약한 부분을 다시 보고 있다. 특히, 연관관계 매핑이나, 스프링 시큐리티, JPA 등을 공부할 예정이다.
•
프로젝트를 위해 휴강 기간동안 그동안 배웠던 내용들을 한번 복습하고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사이에 통신하는 방법(Axios)에 대해 좀 공부를 해야할 것 같다.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이 너무 어려워서 쉬면서 알고리즘 문제를 많이 풀어봐야 할 것 같다.
•
쉬는 동안 위키 참고해서 깃블로그 포함 이번주 진도를 어느정도는 따라잡아야 할 것 같다.
<3달 회고 총평>
•
서현님: 비전공자라 여기 와서 배우는 것들 중에 잘 모르거나 심지어는 아예 처음 보는 것들도 많았다. 그래서 재밌기보단 힘든 시간이 더 많았다. 재미가 붙을만하면 또 새로운 어려운 게 나오고, 붙을만하면 에러 때문에 하루 종일 아무것도 못하고
그래서 포기하고 싶기도 했는데, 공부한 지 얼마나 됐다고 벌써 포기를 생각하나 싶어 견뎠다. 혼자 했다면 진작에 그만뒀을 텐데, 여기서 많은 사람들과 같이 하니 도움도 되고 또 버틸 수 있었던 것 같다.
다음 주부터 프로젝트가 시작 된다는데, 자신이 너무 없어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지만, 그럼에도 포기하지 않고 잘 해보려고 하고 다 소화하지는 못했지만 배운 것들이 많으니 쉬는 날을 활용해 잘 정리해서 참고라도 할 수 있도록 할 생각이고, 무엇보다 의지를 다지고 오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