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의응답
•
다음주 시간
1.
Bundle identifier의 기준이 있는가?
•
네이밍 컨벤션: 도메인 거꾸로 + 프로덕트 네임
•
타겟마다의 고유 ID
2.
옵셔널을 왜 사용하게 되나요? 현업에서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고 잘못 사용하는 경우나 그럴때에 발생하는 문제
•
굉장히 다양하게 사용되고 유용함
•
예를들어, UIImage(data: ~)
3.
함수 선언시 파라미터에 들어가는 _에 의미 _ 만 쓰는 경우 _변수명 으로 쓰는 경우
•
변수명을 안 사용하고 담기만 할 때 사용
4.
현업에서는 git 전략을 어떻게 가져가는지와 꼭 알아야할 명령어가 있다면?
•
git-flow 전략
•
GUI 사용해서 커맨드 라인 명령어는 기본적인것만
•
기능이 필요하게 되면 확실히 알고 쓸 수 있으면 무관
5.
시뮬레이터 메모리 문제가 생길수도 있나요?
•
실기기와 비슷 별도의 문제는 딱히 없음
6.
알고리즘 언어로 swift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괜찮을지 (phython으로도 준비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
iOS 개발자 준비한다면 당연히 괜찮고 오히려 그래야함
7.
vision 같은 웨어러블에 대한 현업에 관심, 웨어러블 개발도 공부할 필요가 있을지
•
거의 없지만 SwiftUI로 하기 때문에 기존 iOS macOS 개발자들에게는 진입 장벽이 낮음
8.
코딩 테스트 얼마나 보나요?
•
회사바이회사지만 코테를 본다면 정답율과 함께 접근 방식을 많이 봄
•
코테 아니면 과제. 신입은 아직까지도 코테 많이 봄.
9.
멘토님이 생각하는 주니어 iOS 개발자의 최소 역치와 주니어 개발자 연봉에 대한 생각
•
주니어도 신입과 중고신입 정도로 나뉨
•
완전 신입 경우에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 + 새로운 것이 던져졌을때 빠르게 적응하고 제대로 사용하는지
•
기본적인것은 어떤 언어에나 있는 Swift 기본 문법, UIKit or SwiftUI, 네트워크 처리 등
•
연봉은 역량에 따라 천차만별
10.
좋은 회사를 고르는 법
•
일단 가리지말자
•
면접을 볼때 대화하면서 같이 일하면 잘 맞을지 되짚어보자
11.
신입 ios 개발자의 최소 역량은 어느정도인가요? (자격증, 대회수상이력, 프로젝트 갯수나 깊이의 정도 등등)
•
서류만 통과하면 스펙은 거의 안봄
•
실제로 진행한 프로젝트나 코딩 전형에서 보여준 역량이 중요
12.
코딩 테스트의 난이도 최소 역량 수준 정도는 어떻게 되나요?? (백준이나 프로그래머스)
•
회사바이회사 기준치만 넘으면 됨. 점점 안보는 추세.
13.
보통 면접의 진행과정이 궁금합니다
•
서류-코딩-기술-컬쳐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