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6장. 피크엔드 법칙 - 0513

피크엔드 법칙

인간은 (경험 전체의 평균/합계가 아니라) 절정의 순간과 마지막 순간으로 경험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Bash
복사
가장 큰 도움을 주는 순간, 중요하게 여겨지는 순간, 큰 즐거움을 주는 순간 등을 알아내야 함
부정적인 순간을 더 생생하게 기억함
사용자가 전체 경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하려면, 중요한 순간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
인간은 경험을 포괄적인 타임라인이 아니라, “ 스냅 사진 ”처럼 기억함
증거1. 대니얼 카너먼
(논문) [더 큰 고통을 적은 고통보다 선호하게 하려면 경험의 마지막 순간이 좋아야한다]
(실험) 불쾌한 경험 2가지 유형
1. 14℃ 물에 손 60초 2. 14℃ 물에 손 60초 + 15℃ 물에 손 30초  : 실험을 다시 할 의향이 있는 경험으로 선택
증거2. 대니얼 카너먼 + 레델 마이어
(연구1,2) 대장 내시경, 쇄석술 환자
1. 평범 대장내시경 2. 끝나고 3분 더 유지  : 불쾌함 및 혐오감 더 낮게 평가
⇒ 가장 불편한 순간 + 마지막 순간으로 평가함 (불편함 또는 고통의 강도가 얼마나 지속되는지 문제 x)

인지 편향 ( 심리학 개념 )

: 판단에 관여하는 사고나 이성에 발생하는 계통 오차를 말함 → 인간이 세상을 인지하고, 의사결정하는 능력에 영향을 끼침 (상황을 효율적으로 신속한 결정을 내리게 해주는 정신적 지름길, 무의식적인 자동 반응) = 선입견
에이머스 트버스키 + 대니얼 카너먼
확증 편향
기존 신념을 지키기 위해 이를 지지하는 정보에만 주의를 기울이고, 이에 반하는 정보를 무가치하다고 치부
자신의 선입견이 옳다는 걸 더 분명히 하는 방향으로만 정보를 찾고, 해석하고, 상기하는 편향된 신념
기억 편향 (= 피크엔드 규칙)
자신의 감정을 강하게 자극한 사건을, 그렇지 않은 사건보다 더 잘 기억함
경험을 회상할 때 전체적인 느낌이 아니라, 감정적으로 절정에 이른 순간과 마지막 순간 - 이 두 시점에 느낀 평균을 떠올림
최신 효과 (= 피크엔드 규칙)
마지막에 입수된 정보일수록 가장 잘 기억해 낼 수 있음

감정과 사용자 경험

ex. 메일침프 홍보 이메일 작성 - 따뜻하고 밝은 어조로 안내 >> 이메일 발송 순간 (긴장) → 캐릭터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재치) >> 발송 후 세부사항 화면으로 리디렉션 → 하이파이브 (격려, 성취감)
ex. 우버 대기 시간 관련 3가지에 집중 → 요청 취소율 감소 >> 유휴 시간 거부감 → 차량 도착까지 이동경로 시각적으로 보여줌 >> 도착 예상 시간 → 도착 예상 시간 계산되는 방법 확인 가능 >> 점진적 목표 달성 효과 → 프로세스 각 단계 명확 설명

여정 지도 ( 디자인 기법 )

: 사용자가 임무나 목표를 성취하는 과정을 서술함으로써 사용자가 제품 혹은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시각화할때 매우 유용하게 쓰이는 정성적 조사 방법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들이 고객 경험에 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공유하고, 도전 과제 및 기회를 구별할 수 있게 도와주는 디자인 도구
렌즈
해당 경험을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인물의 시각을 규정하는 섹션 ex. 페르소나
경험
타임라인을 따라가면서 최종 사용자의 행동, 사고방식, 감정을 조명하는 섹션
통찰
경험에서 드러난 주요 교훈 (개선할 여지가 있는 기회 영역을 목록으로 정리)

부정적인 절정

의도치 않은 결과에 대한 대비책 마련하기 (위기를 기회로)!!!!
404 오류 페이지 → 유머 이미지 띄우기 : 라포(rapport) 형성 * 라포, 라포르란? 사람과 사람사이에 생기는 상호신뢰관계를 말하는 심리학용어 서로 마음이 통한다든지 어떤일이라도 터놓고 말할 수 있거나, 말하는 것이 충분히 감정적으로나 이성적으로 이해하는 상호 관계

정리

인간은 과거 사건을 떠올릴 때, 경험 전반을 고려하기보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감정적으로 절정에 이른 순간과 마지막 순간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
사용자가 전체 경험을 긍정적으로 기억하게 하려면 이렇게 중요한 순간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