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용 자료
/
KDT Backend School 공용페이지
/
[KDT] 백엔드 스쿨 2기
/
K-Digital Training 테킷 백엔드 스쿨 2기 공식페이지
/
스터디 페이지
/
씨예스~!!
/
SPRING
Search
🍃
SPRING
1주차
Spring이란 무엇인가요? Spring이 이야기하는 장점에는 무엇들이 있을까요? (EJB와 비교해서 설명하면 좋을듯)
IoC, DI는 무엇이고 어떠한 장점이 있을까요?
Spring IoC Container란 무엇인가요?
Spring, Spring Boot의 차이점에 대해 각각 설명해 주세요.
Spring Boot가 해결하려고 했던 문제는 무엇이고 어떻게 해결하였나요?
Bean이란 무엇인가요?
Bean Scope와 종류에 대해 아는 만큼 설명해주세요.
Configuration은 어떻게 Bean을 등록하고 관리할까요? (Singleton을 지키는 매커니즘은?)
Bean Lite Mode는 무엇인가요?
Spring Bean Life-cycle에 대해서 말해주세요.
@Bean과 @Component은 각각 언제 사용되고 어떤 차이점을 가지나요?
순환 참조는 무엇이고 어떤 상황에서 발생할까요?
2주차
Spring으로 개발하실 때 어떠한 DI 방식을 사용하시나요?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이 있는 것일까요?
Field Injection를 왜 사용하면 안된다고 하는 것인가요? 사용할 때 어떠한 단점이 있을까요?
(Field 주입과 대비하여) 생성자 주입은 빈 생성 때 사용되는 리플랙션 외에 추가적인 리플랙션을 진행하나요?
Interceptor와 Filter의 차이점을 말해주세요.
스프링에서 Bean으로 Filter를 구현할 수 있을까요? 혹시나 가능하다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Message Converter는 어느 시점에 사용되고 어떤 기능을 제공하나요?
Value Object, Data Transfer Object, Data Access Object 대해서 각각 설명해 주세요.
Spring AOP는 어떻게 동작할까요? (프록시는 언제 생성되고 요청은 어떻게 잡아내나요?)
Spring AOP는 CTW, PCW, LTW, RTW 중에 무엇일까요?
Dynamic Proxy의 CTW, PCW, LTW, RTW은 각각 어떤 시점에 개입하는 것일까요?
(Spring AOP와 비교하여) AspectJ의 도입 시점은 어느 시점이 될까요? 본인 만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Transactional를 스프링 Bean 메서드 A에 적용하였고, 해당 Bean의 메서드 B가 호출되었을 때 메서드 내부에서 메서드 A를 호출하면 어떤 요청 흐름이 발생하게 되나요?
3주차
MVC 1, 2 개념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Front Controller Pattern은 무엇인가요?
Dispatcher Servlet이란 무엇인가요?
Spring MVC에서 HTTP 요청이 들어왔을 때의 흐름을 설명해 주세요
@Transactional 동작 흐름 및 원리
스프링 컨테이너가 Reflection API로Bean을 등록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