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기초멘토링_나길주

분류
프로젝트
담당멘토
양민욱
멘토링 요청시간
2023/09/15 20:10-21:10
멘토링 시간
2023/09/15 20:00-21:00
멘토링방
멘토링룸1
배정상태
해결완료
비용지급
시트 반영
번호
0
신청팀
개인
소요시간
1
작성자
나길주

질문

1.
코드를 하나씩 볼때 이해를 못하고 있는데 프로젝트 공유하면서 여쭤보겠습니다..!
2.
게터와 세터 메서드 사용할 때 값을 넣을때 세터 메서드만 사용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렇다면 게터 메서드는 언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3.
메뉴 drawable 은 언제 주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멘토 답변

코드를 하나씩 볼때 이해를 못하고 있는데 프로젝트 공유하면서 여쭤보겠습니다..!
코드를 한줄씩 이해하시면서 클래스 내부 구현까지 공부하는 방법은 아주 좋은 공부 습관입니다! 하지만 길주님께서 내부 구현을 보다가 이해가 도저히 안된다며 막막함을 느끼신다면 내부 구현은 잠시 미뤄두고 함수의 역할만 이해하고 넘어가시고, 추후 안드로이드 경험이 쌓이고 나서 살펴보아도 늦지 않습니다.
게터와 세터 메서드 사용할 때 값을 넣을때 세터 메서드만 사용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렇다면 게터 메서드는 언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게터와 세터 메서드는 객체지향의 개념으로 설명이 가능한데요. 클래스의 멤버 변수를 외부에서 직접 참조하는 것은 객체지향에 어긋나는 코드로 캡슐화의 원칙에 따라서 공개하고자 하는 내부 상태가 있을 때 getter 함수를 만든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메뉴 drawable 은 언제 주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 menu xml을 언제 사용하나요)
Android에 Option Menu, Context Menu, Popup Menu 3가지의 메뉴를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추가적으로 작성한 코드에 대해서 자신감 또는 이해를 못하고 있다는 걱정이 많으셔서 작성한 코드를 한줄 한줄 읽으면서 의미와 이유를 질문드리고 답변을 드리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package의 의미
import를 쓰는 이유
class A: Fragment()의 의미 (Fragment의 상속)
latent var binding: B 의 의미
멤버 변수로 선언한 이유
onCreateView 함수의 역할
B.run 의 의미와 역할
this의 의미와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