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2022.09.19.

1. 교육 과정 시작하고 1주일간 일어난 일에 대한 회고 ~9:20

내게 배움이 있었나요? 있었다면 어떤 배움이 있었나요? 만약 없었다면 왜 없었을까요?
이름
1주일 간 내게 있었던 배움
승준
ADS 작성 방법, 팀원과의 의사소통에 필요한 것들, Design Thinking 을 실제로 적용하는 요령
예원
팀원들 간의 소통 및 격려, 페르소나, 만들고 싶은 앱의 ADS를 구체화 과정에 대해 배움, 팀원들과 발표준비를 하면서 점점 발표자료를 간결하게 깔끔하게 만들 수 있게 됨.
진형
설계했던 앱에 대한 구체화, 혼자서 할 땐 느껴보지 못 했던 협업의 장점.
석준
내가 왜 앱개발자가 되려고 하는지, 앱 개발자가 되어서 어떤 앱을 만들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 앱을 만들 때 디자인 사고를 배워보는 시간이었다.
혜성
타인의 의견을 수용하는 법,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다.
형구
내가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무엇을 배우는 것인지에 대한 아웃라인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성민
Design Thinking 과 ADS를 통한 기획 및 구체화 과정 / 카테고리 분류의 중요성
원형
앱 기획에 대한 ADS 설정 및 개선

2. 전체 교육 과정을 마무리 했을 때 나는 어떤 상태이면 만족스러울까?

- 내가 생각하는 앱스쿨 과정을 마무리했을 때 성장하고 싶은 목표 3가지 - 해당 목표를 달성했지만 불족만스러운 경우 2~3가지 - 해당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만족스러운 경우 2~3가지
이름 : 이승준
이름 : 박성민
이름 : 박진형
이름 : 이석준
이름 : 전혜성
이름 : 이원형
이름 : 김예원
이름 : 조형구

3. 피드백 방법에 대해 피드백 받기

3-1. 어떻게 하면 해당 목표를 달성해 나가고 있는지를 우리가 알 수 있고, 의미있는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 있을까?

회고조 인원이 많은데 어떻게 대화를 나누고 회고 하는게 효율적일까
ex) 회고하는 빈도 수, 아침에 수업 시작하기 20분 전에 만난다. - 시간, 디스코드, 노션, 카카오톡 그룹채팅

10조의 회고와 소통 Ground Rules

시간 : 매주 목요일 오전 7시 40분
횟수 : 주 1회
어디서 : 디스코드 / 오프라인
어떻게 : 서로의 감정 생각하기 / 구체적 피드백
1.
구체적인 피드백을 하자
2.
피드백은 남을 깎아내리는 것이 아니다!
3.
좋았던 부분, 잘 되고 있는 부분을 짚어서 극대화하는 방향을 살리는 피드백도 함께 진행하자.
4.
샌드위치 피드백 : 긍정 -> "나라면 이렇게 할 것 같다는 솔루션"을 함께 제안 -> 더욱 긍정적인 결과!
5.
적극적으로 참여 해주시면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6.
팀 활동할 때에는 어떤 일을 할 것이라고 미리 팀원들에게 말해주기!
10조의 회고 목표
기본이 탄탄한 개발자
Swift 개인 공부하면서 피드백
1주일 돌아보기
이번 주를 어떻게 보냈고 앞으로는 어떻게 할지

3-2. 피드백을 주고 받을 팀만의 계획 세워보기

시간이 남는다면 남은 시간 동안 작성한 행동 계획 바로 해보기

3-3. 메이커준에게 피드백 받고 싶은 부분을 1가지 정리해서 공유하기

이 때 피드백 받고 싶은 내용을 정리하고 노션에 작성해주세요
10조가 받고 싶은 피드백 : 팀으로서의 소통에 어떻게 하면 매끄럽게 협업하고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