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중간보고 전 귀여운 심숑이를 보고 가세요
심숑아 행복해
예산요약(23.01.06 기준)
3월 기준 ₩238,729,521 사용 예정확정 → HR데이 or 수료생 대상으로 지원 확장 예정
세부내역
예결산상세보고
RED 차기 기수 참고 내용
BLUE 2기에서 시도한 부분
[참고하기] 노션(Notion) 토글(toggle) 관련 단축키
페이지에 대한 모든 토글을 열고 닫을 때
• 윈도우: Ctrl + Alt + T
• 맥: Cmd + Option + T
인력관리
도메인특강
취업특강
팀활동(팀프로젝트, 스터디)
특별세션(강사님)
이벤트
수업도구
데모데이/수료생
기타
정리
내용 | 1기→2기 변경안 | 시도 결과 | 잘한 점 | 아쉬웠던 점 | 액션아이템 |
워니님 이력서 특강 | new활동자랑이벤트 - 공개이력서 제출 이벤트
| 2회차: 제출인원 10명 | 2회차 참여자: 약 60명 이상 | 제출만 해도 일만원권 상품권을 받는데도 참여가 예상보다 저조
c.c 1기 2회차 제출자: 11명 | |
워니님 이력서 특강 | 4회차일정 수료식 이후로 변경
2회: W14→W15
3회: W18→W19
4회: W21→W23 | (추후 보고) | 참여자 보았을 때 공개 피드백 횟수 3회까지 필요한지 | 1회특강+2회공개이력서 피드백(수료전/후) 으로 변경 제안 | |
워니님 이력서 특강 | 2회차특강 전 수업에서 프로젝트 2개(병원api, Git블로그) 진행했기에 해당 내용들 정리하여 워니님께 미리 전달
| 2회차 3회차 4회차 이력서 제출 전마다 어떤 내용을 추가하면 좋을 지 수강생에게 공지
→ 이력서 고도화를 위한 재제출 문화 강조
c.c 1기 재제출자 총 2명 | |||
알고리즘 PCCP 자격증 | new 올해 진행
1기: 수료생
2기: 재학생 | lv2 1명… | 알고리즘 스터디 페이지 개설
→ 추천 문제
| 자율적인 방치형 페이지였기에 하는 사람만 시도 | 1) 2기수료생+3기재학생 단체 쿠폰 구매 제안 → 2기는 수료후 취업계획서 제출하면 응시쿠폰 지급하는 식으로 계획중
2) 멋사 공식 스터디처럼 개설하는 것도 추천
→ 특강강사 초청, 제출률 확인 등 관리 |
클래스 | 클래스 리더X | 클래스 존재필요에 대한 의문
→ 2기의 경우 백엔드위키 제출 및 멘토님 피드백용으로만 사용 | 클래스 역할 재정의 필요 → 클래스 내에서 다양한 활동 추가 필요 | ||
회고팀 | 회고 이벤트 참여팀 (3 / 15)
| 자율적인 운영으로 인해 회고팀 간 간극 존재
→ 회고팀 리더의존도 높음
c.c 11월 설문 - 회고팀 활발하다 응답 50% (8팀 활동) | 회고팀 활동 백엔드위키, 활동자랑-회고인증 말고도 늘려야 할 필요 있음 | ||
프로젝트팀 | 종프, 해커톤 모두 함께 진행 (14-22주차)
| (추후 보고) | |||
스터디 | 이벤트 참여 방식을 강제→자율로 변경 | 스터디 이벤트 참여팀 (3/ 8)
| 이벤트 참가하는 팀만 활동 내용 파악 가능 → 스터디 활동하는 수강생의 성과 알 수 없음
| 운영일지 이벤트에 더해 결과 보고 이벤트도 만들면 좋을 것 같음 | |
강사님 세션들 | new
아기사자반
커피챗
코딩 PT
| 하위권 수강생 뿐 아니라 상위권 수강생의 만족을 위한 프로그램 기획
→ 코딩PT | 1) 강사님 의존도가 높은 세션
2) 수강생 참여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함 | 강사님과 수강생들이 친해질만한 이벤트 기획 필요 → 1:1 만남에 대한 부담감 줄일 필요 있음 | |
오프라인 만남 | new
약속을 JAVA
| 참가자: 11팀 (약 60명)
| 오프라인 만남 니즈 해소 → 문의 감소 | 해당 이벤트 이후에도 디스코드 #번개모임 활성화가 잘 안 됨 | 식사제공이 아닌 다른 형태의 오프라인 이벤트 기획 필요 |
보조교재 | new
2기: 스프링부트 핵심가이드 | 보조교재 구매에 대한 예산 빼놓는 것 추천 |
논의점
•
주강사님에 대한 높은 의존도
◦
특히 초반 6시간 풀수업 + 2시간 자율시간(강사님 질의응답/특별세션) 으로 진행하다 보니 강사님 피로도 상승
•
야간멘토의 필요성
◦
야간 질의응답 형태에 더해 다른 세션도 함께 추가
◦
혹은 근무시간 줄이기
•
운영진의 역할을 최소화하고 강사진 인력을 잘 활용하는 방법 구축 필요
•
상위 10% 하위 10%를 만족시킬 방법?
◦
2기는 아기사자반으로 하위 10%, 코딩PT로 두 계층 모두를 만족시켜보려고 했습니다. 다만, 수강생들에게 해당 세션들 어필 실패
◦
아기사자반의 경우 4주 시행했지만 단기간 성장하는데 무리가 있음
◦
상위반, 하위반 모두 개설시 강사님 체력적인 부담 상승 → 외부 강사 모시면 인건비 높아짐
▪
앞으로 예산은 계속 줄어들 듯 하여…
•
AWS와 같은 도구의 경우 멋쟁이사자처럼 지원이 어려운 경우 대체품은?
◦
공부에 도움이 되는 다른 지원 가능한 형태의 쿠폰을 계속 지급해야할 지
◦
수강생들은 월 2만원 쓰는 것도 아까워 하는 상황 (aws, 보조교재 등등)
•
현재 2기의 경우 회고팀(13주), 프로젝트팀(9주), 스터디(자율), 클래스로 수강생 만날 수 있음
•
회고팀끼리의 활동을 높일 방법?
◦
2기는 회고팀 활동이 자율회고 및 백엔드위키 작성, 수업시간 중 팀 간 디버깅 등 활동함
◦
TIL 활동이 대다수 → 회고이벤트 참여한 팀만 계속 참여
◦
회고팀 활동 약 3달이지만 친해지지 못한 팀 많음 → 다른 이벤트 개설이 필요
◦
자율이벤트가 아닌 필수이벤트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음
•
프로젝트팀 기간 수강생들의 집중도 높이는 방법?
◦
종프 → 아이디어톤 → 해커톤 까지의 여정에 있어 수강생들이 많이 지침
◦
전체적으로 조용한 상태이며 종프의 경우 참여하는 학생들만 참여하고 있음
◦
프로젝트팀의 사기를 높일만한 이벤트가 필요 → 단 프로젝트 수행에 부담이 되지 않을 정도로 러프한 이벤트로
•
같은 ‘클래스’ 사람들끼리의 친밀도를 높이는 방법?
◦
멘토를 중심으로 다같이 모이는 분위기를 초반에 형성하면 좋을 것 같음
◦
2기는 클래스의 역할이 백엔드위키 피드백 공간으로만 사용되어서 더욱 잉여 공간
▪
백엔드위키 끝나는 시점에서 클래스 채널도 침묵만 가득함…
•
오프라인 니즈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방법?
◦
특히 과정 초반에 오프라인 만남, 스터디 장소 등의 문의가 많이 들어옴
◦
오프라인 만남 이벤트의 경우 참여한 사람들에 대한 만족도 높고 트리거로 이어져 계속 만남 지속 → 수료까지 가고자 하는 동기 중 하나가 충분히 될 수 있다 판단
◦
지방 사는 사람들에 대한 만족을 어떻게 높일지
◦
적은 예산으로 큰 만족을 만들고 또한 지속성 있게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
•
HR day 활성화 방법?
◦
현재 2기의 경우 강제1회 → 자율 1회를 시도해보려고 하는 중
◦
강제로 한 번이라도 참여해보면서 취업 준비에 대한 필요성을 학생들이 느끼게 할 계획
◦
PCCP자격증, 코이님 3:1 기술 면접을 그렇게 하려하며 워니님 이력서 특강의 경우도 약간의 강제성은 필요해 보임
▪
FES의 경우 이력서대회 이벤트 등을 개설하여 수강생들 참여도 높임
•
PCCP 자격증 단체 구매 어떤지?
◦
제안) 재학중 1번, 수료후 1번 총 2번을 제공하는 형태 어떤지
▪
수료후 자격증의 경우 취업계획서 작성하면 주는 리워드 형태로
▪
해당 취업계획서 보고 수료 후 취업트랙킹도 가능하지 않을지, 수료 후에도 계속 신경써주는 스쿨의 이미지를 만들면 좋을 것 같음
•
단순히 활동을 인증하는 방법은 다양성 부족 → 하는 사람만 계속 참여하게 됨
•
프로그램
◦
백엔드위키
◦
스터디
◦
아기사자반
◦
커피챗
•
이벤트
◦
약속을 JAVA (오프라인만남)
◦
활동자랑 이벤트 - 회고팀, 스터디, 공개이력서
•
2023.01.11 기준) 13명 퇴소 중 5명(ssafy 2, 우테코 2, 채용확정용교육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