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나눌 이야기
1. 지난 스프린트 이후로 1달간 일어난 일에 대한 회고 (~9:15)
지난 스프린트 이후로 나에게 의미 있었던 지점 2~3가지를 작성해볼게요. 이 때 좋았던 부분, 성장한 부분뿐만 아니라, 고민할 지점을 줘서 의미있다고 생각한 부분도 좋아요.
이름 | 지난 스프린트 이후로 일어난 일 중에 나에게 의미 있었던 지점 2~3가지 |
도영 | 리액트가 확실히 더 편하다. 근데 너무 방대함. 라이브러리가 너무 많음. 해야할 게 진짜 너무 많다.
리덕스를 쓰려고 해도, tool-kit, thunk 등등 익혀야될게 너무 많음.
공부할수록 편해지는게 맞는데 공부하는게 아주 힘듬.(습득력이 아주 좋기 때문에 곰방 배워서 잘 쓸듯~) 리액트가 편하다는 것은 이미 잘한다는 것~~ 리액트가 편하다?? 이거 도영님만 가능한 말이다… |
누가 내이름 지움?
혜빈 | 내가 리액트를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있을까…????????? |
혜수 | 고민 : 팀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아 물론 쌉가능~) |
윤정 | 팀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어떻게 팀프로젝트 완성까지 무사히 성장하며 할 수 있을까…고민입니다.. (할 수 잇다아!!!!!!!)서윤정이 성장하는게 느껴진다 이말이야~!!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
정호 | 아쉬웠던 점
사실 한달동안 성장을 하였는지가 의문이다 항상 제자리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 같다. 특히 깃은 배우면 배울수록 너무 어려운 것 같고 리액트는 아직도 어느 기술을 도입을 해야되는지 고민이다. (제자리라고라..? 근데 원래 높이 있을수록 뭐라그러냐 하튼 더 성장하기 힘드러) 리액트를 도입해서 간단한 프로젝트라도 한번 만들어 봐야겠다. 특히 스타일드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방안으로 (feat혜수 누나의 도움을 받고서…) |
혜지 | 아쉬웠던 부분..! 리액트로 들어가고 나서 너무 어려웠따아… 진짜 자스→리액트 이부분이 적응하기 너무 어렵고 지금도 적응중…. 끄아아아아
플젝하는데 어려워서 헤매는중…
리액트 실력 늘려면 어떻게 해야하져 좀 도와주세여!!!!!! |
윤구 | 나는야 이윤구 안녕하세요 |
…? 윤구 역시 5조 엿다 | |
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나가면 나 몰표받음 어떡함 ? ㅜ - 이런사람 제일 빌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몰표 받아야지~ 나는 나간다면 어떤 이름이 어울릴까?덕순이
옥순, 순자, 영작, 영숙, 현숙 골라봐
나는 영철
(누구라고 생각하나 자네..)
기현쓰구만,, ㅋㅋㅋ 여기 프로필 다 보여요,,, 아 맞네..
기헌쓰..?
혜지님! 아쉬웠던 부분 적어줘도 괜찮습니다 ㅎㅎ 고민할 지점을 적어줘도 좋아요. 우리의 성장은 끝이 없으니까!
팀별이면 여기다가 적는것이 아닌가욤..?
여기다가 적으면 되지 않나욤..? 회고스프린트이니께~
윤구님은 막 저기갔다 여기있다 바쁘다 바빠
오ㅐ 안적어요??
ㅇ윤구님 뭐든 잘하잖아노션 이동도 개 잘함 덜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윤구가 해줌
근데 진짜 인정 이윤구 천재
이름 | 팀 프로젝트가 만족스러운 경우에 대한 2~3가지 정도를 상상해보기 |
도영 | 1. 계획했던 기능들을 무사히 구현 완료 하였을 때
2. 프로젝트를 마친 후 리액트 및 다른 여러 툴들과 더 친해졌다고 느끼면 아주 만족일듯. |
1. 팀프로젝트 일단 팀원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끝낸 것이 제일 만족스러울 것 같다.
2. 필수적인 기술을 모두 구현하고 리팩토링 과정에서 성능이 업그레이드가 될 때 굉장히 뿌듯할 것같다. (정호화 같은 마음~ ?? 네???) 아 나도 소금빵 먹고 싶다.
동탄 놀러오면 사줌~~ 아 나도 소금빵 …
동탄 오면 사줌~2222 | |
1. 필수 기능을 구현하고 프로젝트를 무사히 완성했을 때
2. 팀원들과 협업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다음 프로젝트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때 | |
1. 팀끼리 협의한 최소한의 필수적인 기능을 구현하여 완성 됐을 때
2. 팀 내에서 원활한 소통을 통해 협업하는 능력이 성장 되었을 때
3. html,css,js,react 구현에 익숙해졌을 때 | |
1. 팀프로젝트 일단 팀원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끝낸 것이 제일 만족스러울 것 같다.
2. 필수적인 기술을 모두 구현하고 리팩토링 과정에서 성능이 업그레이드가 될 때 굉장히 뿌듯할 것같다. 이것이 어떻게 동작되는 것인지 어떤 게 성능을 나빠지게 하는 것인지 내가 정확히 알게 되는 것이니깐..
3. 프로젝트가 끝난 후 우리의 팀의 프로젝트를 보고 다른 멋쟁이사자처럼 사람들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같이 하자고 할 때 만족스러울 꺼 같다. 우리의 프로젝트를 보고 와 이사람들이랑은 새로운 프로젝트 할 수 있을 꺼 같은데 이런 생각이 들게 만들었으니깐?
4. 만약 프로젝트 종료 후 리액트가 저물고 있는 상황… 하지만 새로운 라이브러리를 보고 아 이 라이브러리는 이렇게 적용시키면 되겠구나 라고 생각이 들면 ,,, 만족스러울 꺼 같다.. 하지만 리액트야 우리 평생 함께 하자 | |
1. 필수 기술 구현하기! - 추가기능까지는 안해도 되지만 최대한 다양하게 기능구현하기
2. 협업하는 기술과 리액트 익숙해지기!
3. 다투지 않고 좋은 관계로 마무리하고 앞으로 리팩토링도 해 나가기! | |
하하하하하하핳하하하하핳하하하 |
저만 열심히 쓰고 있는 거 아닌가요? - 정호? 나도 열심히 쓴 너꺼를 열심히 가져다썼어 ㅎㅎ
아니에요 모두 열심히 쓰고 있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윤구님 진자 5조 같군요 넘 좋다
정호야 참고 잘해써,,
import 공복 from My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et 점심_뭐드세요_다들 = {props ⇒ {
props.소금빵? “소금빵쥰니쳐묵” : “굶기”;
console.log(”오늘의 점심은?”, 소금빵);
}
import 잘생긴남자친구 from ‘대한민국’
let 혜빈남자친구 = Infinity;
// 😢 🤣
import hyebin from ‘/babo’ ?
export default HyeBinZzang;
JavaScript
복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형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진짜 킹받아 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ndefined 너무 한거 아냐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null 로 하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왜 이러는 거져..? 증맬루… 리액트잇 고만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 사람들 이상해…? 당신도 똑같아 ~ ><
(!!당신 누구?? ===윤구 ) true
굳 ㅎㅎㅎ
undefine
키워드 던지기~
우리조도 키워드 던지고 오세요!!!
•
자랑할만한 깃허브 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