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9장. 테슬러의 법칙 -0603

핵심 요약
모든 프로세스에는 디자인 시 처리할 수 없는 기본적인 복잡성이 존재하므로, 시스템이나 사용자 중 한쪽이 감당해야 한다.
내재된 복잡성을 디자인과 개발 과정에서 처리하면 사용자의 부담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추상적으로 느껴질 정도로 인터페이스를 단순화해서는 안 된다.

개요

복잡성 보존의 법칙
프로세스의 복잡성은 사용자, 디자이너, 개발자 중 누가 부담해야 할까…?

기원

1980년, Xerox PARC에서 Larry Tesler인터랙션 디자인 언어 개발 업무 수행
인터랙션 디자인 언어
복잡성을 줄이자!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든 애플리케이션과 프로세스에는 완전히 없애거나 감출 수 없는 일정량의 복잡성이 존재함❗️
개발(혹은 디자인) 과정 사용자 인터랙션 단계

사례

이메일 (자동완성)

메시지 발신인
메시지 수신인
쓰기
메시지 발신인
메시지 수신인
Gmail 스마트 편지쓰기 스마트 답장 AI

결제 프로세스 (웹사이트)

결제 (청구지 주소)
배송 (배송지 주소)
Apple Pay
Coupang
결제 프로세스
반복 입력 단계 생략, 고객 경험의 복잡성 감소 (디자이너 개발자가 부담..)

소매업계 (무인 매장)

계산대 줄 서기
상품 바코드 스캔
별도의 결제 프로세스
Amazon’s Go
사진
단순성이 추상성으로 바뀐다면 디자이너가 추가해야 할 목표 제품과 서비스 사용자가 겪을 불필요한 복잡성 제거, 명쾌하고 단순한 경험 구현 좋은 사용자 경험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제거한 쉽고 직관적인 경험 하지만 인터페이스의 복잡성을 감소하려는 노력이 단서 부족이라는 위험에 빠질 수 있다.
픽토그램

정리

7장 심미적 사용성 심화버전
노력해도 제거되지 않는 복잡성일정량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하자!
단순하다 못해 추상적으로 느껴질 정도로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것은 경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