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첫번째 스프린트 이후로 1달간 일어난 일에 대한 회고
첫번째 스프린트 이후로 나에게 의미 있었던 지점 2~3가지를 작성해 볼게요.
이 때 좋았던 부분, 성장한 부분 뿐만 아니라, 고민할 지점을 줘서 의미있다고 생각한 부분도 좋아요.
이름 | 1달간 일어난 일 중에 나에게 의미 있었던 지점 2~3가지 |
김예원 | 1. 수업 중 집중력이 흐트러지면 수업을 아예 놓쳐버린다.
2. 팀원들과 함께 코딩하면서 스스로 작성하는 것이 힘들었던 부분을 해결할 수 있었다. |
박성민 | 1.어려움 속에서 포기하지 않고 방법을 찾아간 것
2.구체적인 목표 설정과 그것을 단계화 한 것
3.생각 버리는 연습을 한 것 |
박진형 | 1. 주석을 잘 활용하는 습관이 생겼다.
2. 깃허브를 대하는 것이 한층 수월해졌다
3. 코드로 구현할 때 더 좋은 방향으로 짜는 것을 고민하고 안 써본 것을 씀으로써 고민의 깊이나 질을 높였다. |
이석준 | 1. 건강을 챙겨가면서 공부를 한 것
2. 질문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도록 연습했고 매일 1개 이상의 질문을 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3. 학교 수업준비와 복습을 모두 소화하려고 저녁시간에 할 일을 1시간 30분 단위로 나눠서 계획했고 지키기 시작했다. |
이원형 | 1.정보통신기사 2.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시험준비 및 시험 |
2. 선택과 집중, 그리고 시간 분배를 정해 정해진 규칙에 의한 생활계획을 만든것 | |
이승준 | 1. 공부하는 습관과 루틴을 잘 지켜나가는 습관이 잡혀가는 것
2. 잘 모르던 사람들과 함께 코드 관련 이야기를 할 수 있게 소프트스킬을 익혀가는 것
3. 오래 앉아서 코딩만 주구장창 하는 게 아니라 어떤 방식이 더 효율적으로 코딩 전문성을 가져다 줄지 고민하게 된 것 |
전혜성 | 1. 타인이 작성한 코드를 이해하려고 하는 자세가 생겼다.
2. 팀원들과 대화를 통해 조금 더 부드럽게 말할 수 있는 느낌을 받아서 좋았다.
3. 문서를 검토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데, 독서하는 시간을 계획하여 꼼꼼히 검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중이다. |
조형구 | 1. 한 주 씩 수행할 때 마다 공부의 방향성이 잡혀나갔지만 한번씩 방향성이 너무 많이 바뀌어서 혼란이 올 때도 있었음
2. 처음에는 조금 어려움이 있었지만 꾸준히 빠지지 않고 참여하면서 수행능력이 점점 향상됨을 느낌
3. 아직 부족한 부분을 많이 느껴 이부분을 어떤식으로 채워나갈지는 아직 꾸준히 고민해 나가야 할 지점 |
2. 그룹별로 나눌 이야기
오늘 서로의 지식과 경험이 녹아들 수 있는 페어 프로그래밍에 대해 이야기하고 라이브까지 진행해보았는데요. 나의 학습 과정에서 프로그래밍 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도 얼마든지 시도해볼 수 있고 효과도 얻을 수 있어요. 그래서 내가 페어 워크를 해보고 싶은게 있다면 어떤게 있는지 나눠보고, 실제 페어도 구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만약 빠르게 다 구해졌다면 남은 시간 동안 실제 페어 워크를 진행해보는것도 좋을 것 같아요 :)
페어 워크의 예) 슬라이드 만들기, 회의 기록 남기기, 글쓰기, 코드 리뷰하기
기준 : 지겹거나, 어렵거나, 막연한 거 2-3개 이상 적고 여러 페어와 함께 시도
* 너무 큰 단위보다 같이 할 때 2-3시간 안에 마무리할 수 있는 작업
* 페어프로그래밍에 대한 간단한 회고까지 진행
이름 | 이번주/다음주에 페어 워크/프로그래밍 시도해보고 싶은 것 | 페어 |
김예원 | ||
박성민 | 계산기 코드 리팩토링, 계산기 베타 버전(ex.bmi 계산기), 이력서 쓰기 | 페어 2 |
박진형 | 계산기 코드 리팩토링. | 페어 1 |
이석준 | 계산기 코드 리팩토링 (배열을 이용하는 방식에서 벗어나기) 을 해보고 싶다 | 페어 1 |
이원형 | algorithm, 이번주 강의 내용 토대로 주제 선정 | |
이승준 | 계산기 리팩토링(구조체, 열거형 구현 위주), 강의 내용에 따라 변경 가능 >:) | 페어 2 |
전혜성 | ||
조형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