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나눌 이야기
프로젝트를 협렵적으로 같이 진행하기 위해 원칙과 규칙에 대해 고민해보기
체크인
1~10점으로 오늘 컨디션 점수를 표현하고 그 이유도 간단히 작성해주세요 
예)
9점
아침에 산책하고 왔더니 너무 상쾌하네요! ㅎㅎ
Plain Text
복사
아이스 브레이킹 + 팀 프로젝트 마무리 상상해보고 잘하기 위한 키워드 뽑기
오늘 기분은 어떤지, 상태 체크
상상해봅시다. 팀 프로젝트를 굉장히 만족스럽게 마무리 했습니다. 어떤 부분 때문에 만족스러울까요? 2~3가지를 그룹별로 적어주세요.
ex. 다같이 기능을 마무리하고, 기술적 역량이 성장한 부분을 포트폴리오에 작성할 수 있다.
2번 중에서 중요한데 어떻게 '잘'할 수 있을지 막연한 것들이 있을 수 있는데요. 이를 최대 3개까지 키워드로 뽑아주세요.
ex. 팀원들의 성장, 소통/커뮤니케이션, 완성기한에 맞춘 구현
키워드 리스트
1.
배려
2.
의사소통
3.
열정
4.
패기
5.
에러
6.
모르는 기술을 배워서 적용하는 것
7.
팀 내 원활한 의사소통
8.
계획의 실천
9.
모두의 즐거움
10.
역할분담
11.
깃을 통한 협업
12.
일정 관리
13.
기능 구현을 위한 적절한 시간 분배
14.
끈기
15.
소통
16.
일정관리
17.
소통과 책임감
18.
모르는부분 팀원들과 솔직하게 공유하고 도움주고 받기
19.
의사소통
20.
일정잘짜고 맞추기
21.
열정
22.
README '잘' 작성하기
23.
역할 '잘' 분담하기
24.
블로깅 '잘' 하기
25.
자기관리, 멘탈관리
26.
의견 제시
27.
역할 분담
28.
인내심
29.
배려
30.
자신감
31.
역할에 대한 책임감
32.
부끄럼 없는 질문
33.
정기적인 만남과 소통
34.
세부적인 구현을 어떻게 할지에 대한 고민
35.
다른 니즈들 사이에서 의견 합일
36.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내는 근성
37.
팀원들과 솔직하게 얘기하기
38.
꼼꼼하게 기록 잘하기
39.
시간, 역할 분배를 잘 하기
40.
협업 역량
41.
커뮤니케이션
42.
개발 과정 기록
43.
본인과 팀원들의 실력 파악
44.
의사소통
45.
소프트스킬
46.
협업능력
47.
성장
48.
마감기한 맞추기
49.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협업이 잘 일어나고, 좋은 프로젝트의 경험으로 잘 마무리하는 팀들의 공통적인 특징
원칙과 규칙을 구분해보기
원칙 - 중요한 근본, 규칙 -바뀌어도 된다
원칙은 행동의 기준이 되는 잘 바뀌지 않는 근본
규칙은 상황에 따라서 바뀔 수 있는 것
팀프로젝트 단위에서 의미있게 느껴졌던 원칙과 규칙
•
공유를 통한 성장 - 원칙
◦
모든 기능 구현을 페어 프로그래밍으로 진행한다.
◦
각자 기능 구현한 것에 대해서는 그날 바로 디스코드에서 공유한다.
◦
1주일에 1번씩 각자 학습한거나 기능 구현한 것에 대해서 돌아가면서 기술 세미나를 연다.
•
높은 수준의 협업 - 원칙
◦
누군가 팀 채널에 도움을 요청하면 그걸 먼저 다같이 해결한다
◦
페어 프로그래밍을 잘하기 위해, ~한 방법을 시도해본다.
•
높은 신뢰 관계 형성 - 원칙
◦
한 주의 마무리는 감정 회고를 통해 아쉬웠던 점이나 내가 느낀 감정에 대해 나눠보는 시간을 가진다.
우아한형제들 송파구에서 일을 더 잘하는 11가지 방법
1.
9시 1분은 9시가 아니다. ⇒ 시간 약속에 대한 것이고
2.
실행은 수직적! 문화는 수평적~
3.
잡담을 많이 나누는 것이 경쟁력이다.
4.
쓰레기는 먼저 본 사람이 줍는다.
5.
휴가나 퇴근시 눈치주는 농담을 하지 않는다.
6.
보고는 팩트에 기반한다.
7.
일의 목적, 기간, 결과, 공유자를 고민하며 일한다.
8.
책임은 실행한 사람이 아닌 결정한 사람이 진다.
9.
가족에게 부끄러운 일은 하지 않는다.
10.
모든 일의 궁극적인 목적은 ‘고객창출’과 ‘고객만족’이다.
11.
이끌거나, 따르거나, 떠나거나!
Meta Values
•
신속하게 움직여라(Move Fast)
•
장기적인 영향력에 집중하라(Focus on Long-term Impact)
•
놀라운 걸 만들어라(Build Awesome Things)
•
미래를 살라(Live in the Future)
•
솔직하게 말하되 동료를 존중하자(Be Direct and Respect Your Colleagues)
•
메타, 동료(메타메이트) 그리고 나(Meta, Metamates, Me)
원칙 1. 생각 공유하기
규칙 1 - 1주일동안 고민했던 부분, 느꼈던 부분 한 가지씩 이야기하기
규칙 2 - 코딩하면서 겪었던 문제해결 과정 문서화해서 공유하기
규칙 3 - 개인 실습 과정에서 작성한 코드 공유하기
원칙 2. 서로 챙겨주고 참여하는 분위기 만들기
규칙 1 - 다른 팀원이 도움을 요청하면 달려가서 도와주기
규칙 2 - 개발 관련, 개발 외적인 잡담 나누기
규칙 3 - 모르는 것 꼭 물어보고 넘어가기
규칙 4 - 수업 중간마다 서로 잘 이해했는지 체크해주기
규칙 5 - 회고 때는 서로 얼굴 보면서 얘기하기
원칙 3. 체력 관리하기
규칙 1 - 주에 1회 이상 운동하고 인증하기
규칙 2 - 영양제 결제 내역 첨부하기
원칙1. 팀원들의 평화
•
회고시간에 잡담을 많이 한다. (일상 이야기)
•
각자의 생일은 꼭 축하해주기
◦
팀원들의 생일 공유 (우리 노션에 작성완료)
◦
회고시간에 돌아가면서 ‘자랑 → 칭찬’ 시간 가지기
ex. 저 오늘 헤어졌어요! → 아이고.. 잘했습니다!
◦
단, 비꼬기 금지
ex. 저 오늘 헤어졌어요! → 아이고~ 잘~했습니다
◦
가끔 게임하기
▪
디스코드 게임
원칙2. 적극적인 참여도
•
짬 매주 월요일 저녁은 4조의 회고시간입니다.
◦
‘~~데이’를 정해서, 회고 시간의 MC를 정한다.
피자 게임으로 정하기
ex. Chano’s Day
◦
적극적인 화면 공유
여러명이 화면 공유해도 상관 없다!
심리적 안정감
함께 자라기
전문가에 대한 사실과 오해
정말 현실에서의 전문가도 과연 그런 사람일까?
전문가일수록 사회적 자본이 굉장히 중요하더라
TDD교육을 듣는다고 해볼게요. TDD 전문가가 되서 팀에 도입하고 싶다.
1.
TDD를 제대로 이해하고 팀에 돌아간다
2.
나 스스로 TDD를 제대로 실천해서 객관적 성과를 낸다
3.
TDD가 좋다고 사람들을 설득한다
4.
TDD를 가르쳐 준다.
5.
모두가 TDD를 열심히 한다.
6.
좋은 성과를 낸다.
실제 결과
•
회사로 돌아가서 실무에 적용하려고 하는데 상사나 동료의 지원 없이 추가적으로 일을 하려니, 시간이 모자라 계속 미루게 되어 결국 적용하지 못한다.
•
팀원 팀장들에게 전파 교육을 하려 하지만 팀원, 팀장들 가운데 몇몇은 추가 업무를 왜 하는지 필요성도 못 느끼는 상태에서 강제로 해야 한다는 스트레스를 받아서 부작용이 생긴다.(그래서 결과적으로 해당 기법은 실무에 써먹을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
배운 대로 팀에서 실천했더니 "다른 부서는 그런 거 없이도 잘하는데 너희는 왜 그런 거 하면서 제때 아웃풋이 안 나오냐" 며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하는 상사나 협력 팀의 리더와 길등을 겪는다.
•
기술적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는데, 주변에 물어볼 사람이 없어 인터넷 검색하느라 몇 시간씩 보낸다. 하지만 결국 원하는 정보를 찾지 못해서 적용을 포기한다.
이런 문제의 발생 원인
항상 뭘 하든지 나 혼자가 아니라 누군가 등장하고, 일의 성패에는 다른 사람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
무리 기술적인 실천법이라고 해도
•
그 기술은 사회적 맥락속에서 실천되어야 하며
•
그 기술의 성공을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기술이 함께 필요하다
하지만 현실은...
하지만 안타깝게도 현실에서는 팀원들이 맘에 안 들고, 그들도 나를 맘에 들어하지 않는 상황, 즉 사회적 맥락이 나쁜상황에서 타개책으로 TDD의 ‘기술적 측면’에만 매몰되는 경우가 있다.
전문가는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기술 또한 뛰어나다
노벨과학상의 산실 벨 연구소의 뛰어난 연구자에 대한 연구
뛰어난 개발자와의 특징
뛰어난 소프트웨어 개발자일수록 타인과 인터랙션에 더 많은 시간을 쓰고, 초보 개발자들에게 조언을 할 때 사회적인 측면이 포함됨 (예를 들어 모르면 꼭 주변에 물어봐라, 남을 도와줘라, 초반에는 과도할 정도로 공유를 해라, 잘되가고 있어도 중간 과정을 공유해라)
경력 있는 개발자들에게 초보 개발자에게 해줄 조언을 적어보라고 하니까
뛰어난 개발자들은 약 70%가 동료와의 협력을 언급하는 반면, 보통의 개발자들은 20%도 안되는 사람들만이 동료와의 협력을 언급했다고 해요.
논리에 대한 환상
•
인간은 컴퓨터가 아니기 때문에, 논리적인 질문을 한다고 논리적인 답변을 하지 않음
•
논리적으로 질문을 하면 압박을 받게 되고, 논리적인 답변을 하기 위해서 긴장감이 든 상태로 가짜 답변을 지어낼 경우가 많아요.
•
상대방의 감정이 어떠한지 이 부분을 살펴보는 경우가 많음
•
논리보다 그 사람의 감정에 집중하면 더 질높은 이야기를 나누고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경우가 많음
•
심리적 안정감
구글이 밝힌 탁월한 팀의 비밀
1.
팀에 누가 있는지(전문가, 내향/외향, 지능 등)보다 팀원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히고 자신의 일을 어떻게 바라보는지가 훨씬 중요했다.
2.
5가지 성공적 팀의 특징을 찾았는데, 그 중 압도적으로 높은 예측력을 보인 변수는 팀의 심리적 안정감(Psychological Safety)이었다.
3.
팀 토론 등 특별히 고안된 활동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개선할 수 있었다.
‘심리적 안정감’
내 생각이나 의견, 질문, 걱정, 혹은 실수가 드러났을 때 처벌받거나 놀림받지 않을 거라는 믿음
생각이나 의견, 질문, 걱정, 혹 은 실수가 드러났을 때 처벌받거나 놀림받지 않을 거라는 믿음을 줄 수 있도록 해보세요 물론 어렵고 다만 그런 실수같은 부분을 한번 발생한거에 대해서 어떻게 더 잘 관리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해보세요
질문
•
성향상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많이 에너지가 소진되는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에너지가 소진되도 소통하려고 노력할 수 밖에 없을까요?
◦
우리가 에너지가 적게 소진되게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을까?
•
심리적 안정감을 키우는데 꾸준히 하면 특히 좋을 활동이 있나요?
◦
회고
키워드를 뽑은걸 중심으로 원칙과 규칙 뽑아보기
키워드를 가지고 원칙과 규칙을 한번 만들어보는 연습
•
원칙1
◦
규칙
•
원칙2
◦
규칙
•
원칙3
◦
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