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부한
오늘의 이야기 주제
팀 프로젝트를 어떻게 하면 만족스럽게 진행할 수 있을까?
1. 두번째 스프린트 이후로 2주간 일어난 일에 대한 회고 (~9:15)
지난 스프린트 이후로 나에게 의미 있었던 지점 2~3가지를 작성해볼게요. 이 때 좋았던 부분, 성장한 부분뿐만 아니라, 고민할 지점을 줘서 의미있다고 생각한 부분도 좋아요. 지난 스프린트 시간에 진행한 페어프로그래밍을 하고나서의 경험을 적어줘도 좋을것 같아요.
이름 | 1달간 일어난 일 중에 나에게 의미 있었던 지점 2~3가지 |
혜지 | 1. 조원들 덕분에 이해안가는 부분들을 해결했다. 약간의 슬럼프를 극복했다.
2. 뭔가를 만들고 해결했다. 뿌듯함을 경험했다. |
제균 | 1. SwiftUI를 다루며 상태 프로퍼티, Observable 객체, Environment 객체 등에 대한 이해가 더 필요하다고 느꼈다.
2. 페어 프로그래밍을 할 때 어떻게 하면 더 상대방이 이해하기 쉬울지 잘 정리해서 말하는 방법을 고민해봐야겠다. |
수현 | swiftUI를 다뤄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동안 사용했던 많은 앱이 어떤식으로 만들어지고 작동되었을지 생각되는 재미있는 시간이었다. 아직은 더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현기 | 1. 웹페이지와 지도를 앱내에 띄우는 걸 해보면서 이후에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될 내용에 대해서
어느정도 감이 잡히는 것 같아서 좋았다.
2. 페어프로그래밍을 통해 알고리즘 문제 풀이를 진행하였을 때 느리긴 했지만 같이 고민을 하며 풀어간다는 부분에서 재미를 느꼈다. |
재혁 | SwiftUI를 다루면서 늘 사용자의 입장에서만 다룬 앱을, 일부 기능이지만 스스로 구현해 본 경험이 매우 의미있었다. 코드의 구조화 과정이 조금은 익숙해지고 있지만, 빈 도화지 처럼 다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손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
현준 | 1. SwiftUI로 레이아웃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에 대해서 익숙해지고 어떻게 하면 좋은 레이아웃이 될지 고민을 많이 함.
2.혼자서 프로그래밍하는 것보다는 페어 프로그래밍을 함으로써, 같이 풀이한다는 느낌을 받음.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페어 프로그래밍하고 싶음. |
수만 | 1. 페어프로그래밍을 진행하면서 함께 문제를 푼다는 것이 재미있었지만 처음 하다보니 미숙한 부분이 있었고 어떻게 개선해나가면서 할 수 있을까 고민이 있었습니다.
2. SwiftUI를 배우면서 동적인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하는 부분이 많이 헷갈리고 어렵다고 느껴졌습니다. |
2. 상상해봅시다. 팀 프로젝트를 굉장히 만족스럽게 마무리 했습니다. 어떤 부분 때문에 만족스러울까요? 2~3가지를 적어주세요. (~9:50)
우리가 상상했을 때 성공적인 팀프로젝트에서 볼 수 있는 요소들을 뽑아봤습니다. 이렇게 중요한것 같은데 어떻게 '잘'할 수 있을지 막연한 것들이 있을 수 있는데요. 이를 최대 3개까지 조별로 뽑아주세요.
이름 | 팀 프로젝트가 만족스러운 경우에 대한 2~3가지 정도를 상상해보기 |
혜지 | - 뒤엎지않고.. 초기 계획한 대로 프로젝트를 완성했을 때
- 핵심기능을 성공적으로 구현했을 때 |
제균 | 1. 프로젝트 기획 단계에서 정했던 기능들을 성공적으로 구현했을 경우
2. 사용자의 피드백이 좋은 경우
3.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많은 것을 배우고 성장했다고 느낄 경우 |
수현 | 1. 초기에 생각했던 디자인/기능들을 잘 구현하였을 때
2. 개인적인 성장을 느꼈을 때
3. 사용자가 사용에 만족감을 느꼈을때 |
현기 | 1. 처음 구상했던 디자인대로 완성을 했을 경우
2. 기획 단계에서부터 무임승차하는 팀원없이 모두 열심히 참여했을 경우
3. 프로젝트 마무리 후 산출물 정리 시 자랑할만한 부분을 모두 고민없이 말할 수 있을 경우 |
재혁 | 1. 팀이 의도한 일부라도 실제 앱에서 구동이 될 때
2. 기획단계부터 배포까지 단계적으로 착착 잘 진행이 될 때
3. 팀원간의 소통과 협력이 잘 될 때 |
현준 | 1. 보여줄 수 있는 기능을 구현
2. 예외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기능(디테일) |
수만 | 1. 목표한 핵심 기능의 완성도가 높은 경우
2.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팀원들 모두가 성장했다고 느낀 경우
3. 팀원 간의 원활한 소통으로 불화 없이 프로젝트가 마무리된 경우 |
중요한것 같은데 어떻게 ‘잘’ 할 수 있을지 막연한 것 공통 키워드 3가지
1.
기능 구현
2.
성장
3.
소통
8조의 원칙과 규칙
원칙 최대 3가지, 규칙은 원칙 별로 1~2가지 정도 까지만 만들어보기
원칙이 더 잘 실현되기 위해서 어떤 규칙이 필요할지 1~2가지 정도만 이야기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 원칙 / 규칙 ]
1.
솔직,담백 그리고 존중
➠ 규칙
•
‘멍청한 질문은 없다!’ 최대한 성실하게 질문하고, 상대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답변하기.
2.
공유를 통해 함께 성장
➠ 규칙
•
공부하거나 학습한 내용을 함께 알 수 있게 회고조 Notion 잘 활용하기.
•
함께 배우거나 공부할 주제들 부담없이 Notion이나 Discord에 던져보기.
3.
No Brain, Just Talk
➠ 규칙
•
어떠한 질문이라도 할 수 있도록 편안한 분위기 만들기.
•
뇌빼고 말하기: 1번 원칙을 지키나 긴장에서 벗어나 TMI도 부담없이 이야기하는 것(잡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