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팀에게 제안
•
원범님 특강(감귤마켓) => 바닐라 js로 감귤마켓 협업 해보는 게 어떤지?
•
팀 프로젝트를 통해 얻고 싶은 것
=> 노션페이지에 따로 기재하는 것으로 자기의견을 구체적으로 남겨줄 것
•
깃허브 활용할 수 있는 수준
•
잘할 수 있는 부분( HMLT/CSS 자신있음 OR JS 자신있음 / REACT가 좋아요 등)
•
주 활동시간 (아침형 / 새벽형 등)
•
팀 프로젝트 설문조사
1-1. 프로젝트에서 가장(첫번째로) 사용하고 싶은 기술 스택을 선택해주세요.
*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 순수 CSS/HTML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 Sass + 순수 HTML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 Tailwind CSS + 순수 HTML
리액트 + 순수 CSS
리액트 + styled-components
리액트 + Tailwind CSS
리액트 + Sass
1-3. 프로젝트에서 두 번째로 사용하고 싶은 기술 스택을 선택해주세요.
*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 순수 CSS/HTML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 Sass + 순수 HTML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 Tailwind CSS + 순수 HTML
리액트 + 순수 CSS
리액트 + styled-components
리액트 + Tailwind CSS
리액트 + Sass
기타:
코딩 컨벤션
•
> 문자열 처리 : 쌍따옴표 vs 홑따옴표
•
> 문자 종료시 세미콜론: 붙임 vs 안붙임
•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가장 성장 시키고 싶은부분?
ex) 부족하다고 생각한 js부분, 리액트 부분을 구현가능하게 만들고 싶음.
프로젝트 시작 팁
1.
작업 나누기 => 기능, 페이지, 공통 UI로 나누기 (공통된 부분부터 )
2.
발표 자료, 영상 잘 남겨 놓기
3.
이력서나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기 위한 팁 - 왜 이러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했는지 생각 - 왜 이러한 코드를 작성했는지 (조금 신경써서 구현한 부분) 생각 - 항상 기록하기 => 에러 기록, 코드 기록, 그때그때의 생각 기록
프로젝트 시작 시 고려해야할 부분
•
팀원간 커뮤니케이션
◦
의미없어보이는 의견도 꼭 제시하기
◦
의견에 대한 의견(찬성, 반대)등은 의견에 대한 찬반이지 그 사람에 대한 찬반이 아니므로 너무 마음쓰지 않기 (꼭 이 의견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도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투표식으로 진행가능)
▪
반대일 경우 아주 작은것이라도 의견을 갖고 말하기 (이렇게 하는건 어떨까요? 등등)
◦
리액션을 잘하기
▪
와~너무좋아요 이런것도 좋지만 넵!, 확인했습니다 등등 대답을 잘하는 것을 의미
◦
당연하지만 서로 배려 존중
◦
한사람만 말하거나 의견을 제시하는 분위기 피하기 => 본인이 살짝 부족하다 생각해도 개의치 않고 따라가려는 것 보다 능동적 참여
◦
서로 모르는 것이나 애매한 것은 적극적 소통
◦
더 추가될 내용 생각해보기
•
프로젝트 시작 (여기서부터는 팀원간 소통을 통해 진행)
◦
프로젝트 진행 방식 결정 (스택 설정, 주제 선정, 페어프로그래밍 등등)
◦
간단한 ui 그리기 ( 컴포넌트 쪼개기 용 )
◦
관련 도메인 사이트 or 프로젝트 (레퍼런스) 탐색
▪
우리 프로젝트에 추가할만한 기능 탐색
◦
컨벤션 정하기 (깃 컨벤션, 폴더 구조 컨벤션, 파일명, 변수명 컨벤션)
▪
eslint 같은 것도 고려, create react app이나 vite같은 프로젝트 생성 방법 고려
◦
역할 분담하기
•
이력서나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기 위한 팁
◦
왜 이러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했는지 생각
◦
왜 이러한 코드를 작성했는지 (조금 신경써서 구현한 부분) 생각
▪
항상 기록하기 => 에러 기록, 코드 기록, 그때그때의 생각 기록
개인적으로 진짜 반대를 하려는게 아니라 의문을 던지면서 한번더 생각보는 것을 좋아함
•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뭐지? => 이 대답에 답을 할 수 있어야 진짜 본인의 생각이고 본인이 알고 있는 것
혜진님 팁
•
기능별로, 페이지별로, 페어프로그램 방식으로, 한명의 PM을 두고 진행하는 방식으로.. 여러 방식이 있음
•
팀프로젝트는 연습이다. => 앞으로 사회생활에서 경험할 것을 미리 경험해보는 것 => 포기만 하지 말자(비교도 하지 말자)
•
처음 만나면 각자 자신의 소개를 솔직하게 하는 것을 추천한다. (나는 현재 를 할 수 있고 를 공부할 것이다.)
•
코드짜는것만 팀프로젝트의 전부가 아니다. 소프트 스킬, 팀 분위기 향상, 아이디어, 적극적 태도 등등 여러 도움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점이 실제로 회사에서 원하는 인재이다. (팀에 잘 녹아들 수 있는 사람)
•
좋은게 좋은거지~ 좋게 생각하며 긍정적 마인드 갖기
•
프로젝트 시작 팁
◦
HTML, CSS, JS 진행 방식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정하기)
◦
작업 나누기 => 기능, 페이지, 공통 UI로 나누기 (공통된 부분부터 )
◦
컨벤션 맞추기 (어쳐피 지저분해진다.. 그래도 일단은 맞추자)
•
발표 자료, 영상 잘 남겨 놓기
누리님
•
프로젝트 기간이 길어지면 당연히 서로에게 할말이 생길 수 있다.
◦
너무 직접적으로 강하게 말하는 것이 아니라 부드럽게 의견을 전달하며 조율하길 !
◦
주간 회의 같을때 잘 조율하는것도 좋다.
•
사람마다 각자 사정이 있고 각자 좋은날 나쁜날등이 있을 수 있다.
◦
만약 누군가에게 친절하지 못하게 대하거나 그런 태도를 받았다면 최대한 이해해보기.. ㅎㅎ
▪
나중에 다시 말해보자.
•
프로젝트를 꼭 고정하지말고 자유로운 아이디어가 있으면 꼭 제시하기
◦
1기, 2기 레파지토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참고를 하다보면 그 레파지토리에 갇히는 경향이 있게된다. (맞는말인듯,.. )
▪
너무 깊게 따라하지말자 참고만 !! => (중요)
감귤마켓 하기전 질문해보기.
-어떤 기술
-목적은 무엇
-팀 목적: 프로젝트를 하면서 이루고 싶은것은 무엇인가요?
-기술 정하기 왜!썼는지 / 나중 기술 면접때 사용한 이유를 물어봅니다.
ex) 처음에는 바닐라자바스크립트로 프로젝트 완성한 후 리액트로 다 바꾸는 작업을 했는데..그러면서 왜 리액트를 써야하는지 알게된 상황도 있을수있음
•
왜이걸썼는지 물어봤을때 과거 경험과의 비교를 하면서 말하는게 좋다.
ex) 과거에 썡자바스크립트와 비교해봤을때 OO한점에서 불편함을 느꼈기에 리액트를 사용하게되었습니다.
ex) 왜 클래스 컴포넌트가 아닌 함수형 컴포넌트를 사용했는가?
ex) 왜 전역상태관리를 썼는가? - props가 많아서 힘들어요~
다음과 같은 답변은 피하세요.
•
배운게 그것 뿐이라서요~
•
회사에서 많이 써서요~
WHY? WHY? 와이????? 가 중요하다!
•
오프라인으로 만날 때 고려하면 좋을 것
•
팀명
•
기술 스택
1.
리액트
2.
CSS: Sass, Tailwind, Pure CSS, Styled Components
•
협업 툴
1.
깃헙만 사용
2.
깃헙 + 노션 사용
•
배포 툴
•
고정 미팅 시간
ex) 매주 월수금 자습시간
•
프로젝트 마감 일정 선정
•
1차 완성 후 리팩토링 기간 고려
•
오픈마켓 서비스의 취지 파악하기
•
오픈마켓 서비스에서 거래되는 품목의 범위를 한정시켜서 특정 마켓을 생성
•
서로의 취미/특기가 뭐지 파악하기 (친밀도 up)
•
코딩컨벤션 정하기
1.
html/css/js 코딩컨벤션
2.
깃 코딩 컨벤션
3.
기타 세부사항 컨벤션
•
리액트 디자인 패턴 적용 여부
•
리덕스 사용 여부
•
오픈마켓 서비스 중 어떤 기능이 추가되면 좋을지?
•
앱에서도 잘 동작하도록 만들 것인지에 대해서 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