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2022년 11월 9일 수요일 16시

참여인원

곽철민, 김지수, 이연재, 이도현, 장서현, 조문주

피드백 사항

<흥미로웠던 부분>

게시판 만들면서 기능을 하나씩 추가하는게 흥미로웠다.
css 없이 부트스트랩 사용하는 게 흥미로웠다.
jpa로 쿼리 없이 테이블 만드는게 흥미로웠다.
http 메서드를 활용하여 GET,POST,PUT 등의 요청에 대한 URL을 설계할 때, 생각 없이 리소스 이름과 행위를 구분하지 않고 막 설계했었는데 최근 http에 대해 공부하면서 RESTful API가 무엇인지 조금은 알게 되었고, url을 설계함에 있어 최대한 리소스를 활용하고 행위는 http 메서드로 구분함으로써 RESTFUL 하게 설계한다는 것이 어떠한 느낌인지 감을 잡아갈 수 있었던 점이 좋았다.
MVC 패턴을 공부하면서 실습을 반복해 이해도를 높였다.
웹 브라우저에서 입력한 데이터가 db로 이동 되는 과정이 흥미로웠다.
코드를 짜면서 그때그때 변화되는 부분을 웹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까 재밌고, 또 잘 보이는 만큼 에러 고치기도 훨씬 수월해서 좋았다.
부트스트랩을 활용하니 따로 CSS를 하지 않아도 돼서 좋았다.

<새롭게 알게 된 점>

DTO와 Entity에 대해서 알게 됐다.
DTO와 Entity
JPA의 DB연결이 계속 실패했는데 DB이름이 달라서 에러가 났다는 것을 알게 됐다.
controller 에서 return type으로 redirect를 사용하면 템플릿이 아닌 url로 매핑 시켜준다는 점을 알게 됐다.
mustache와 html의 차이점을 알게 됐다.
mustache와 html의 차이점
스프링부트 빌드를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됐다.
이전에 배웠던 레이어드 아키텍처와 프로젝트 구조를 연결할 수 있게 됐다.

<힘들었던 부분>

MVC구조에 대해서 이론은 알지만 막상 적용하려니 힘들었다.
JDBC에서 계속 에러가 발생하고 있어서 실습이랑 병행하는 게 어렵다.
어노테이션 메소드를 정확히 아는게 아니라 감으로 대충 작동방식을 유추하고 사용하고 있어서 프로그램이 돌아가는 작동 방식이 힘들었다.
JPA가 오류가 나서 힘들었다.

<노력해야 할 점>

CRUD를 만들면서 http 기본지식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HTTP 기반 지식이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요청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프링 부트를 공부함에 있어서 HTTP 공부를 덧붙혀 나갈 것이다.
어노테이션의 작동방식을 정확히 알고 사용해야 할 것 같다.
새롭거나 모르는 것이 나오면 추가적으로 알아보는 습관을 가져야겠다.
실습을 못 쫓아가지는 않았지만, 그래서 혼자 구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복습하고 또 알아가는 시간을 많이 가져야겠다.
에러 메시지를 잘 뜯어봐야 할 것 같다.
일단 당장 이해가 되지 않아도 실습을 따라가면서 정리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