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희_1005
Intellij에서 Git사용하기
우선 사용할 remote repository를 생성한다.
remote repository 생성하는 법
remote ropository를 생성한 뒤 다음과 같이 연동/commit/push를 진행한다.
1.
상단에서 VCS 클릭
2.
create git repository 클릭
3.
원하는 프로젝트 선택 후 OK 클릭
VCS가 Git으로 바뀐걸 볼 수 있다.
4-1. Manage Remotes 클릭
4-2. Commit 클릭
4-1.1 manage remote 클릭 후 생성한 remote repository 주소를 입력한다.
4-1.2 romote/local 브랜치를 확인한다.
터미널에서 현재의 로컬 브랜치를 볼 수 있다
우측 하단에서 현재의 remote/로컬브랜치를 볼 수 있다.
4-2.1 커밋하려는 대상을 고르고 커밋 메세지를 작성한뒤 commit한다.
4-2.2 변경된 파일의 상태를 확인한다.
파란색: 수정된 것
초록색: add된 것
빨간색: add되지 않은 것
노란색: ignore된 것
흰색: commit된 것
회색: 삭제된 것
5.
gitIgnore를 작성한다.
commit에 제외될 대상을 우클릭 한 후 gitIgnore를 설정한다.
또는 Git Ignore 플러그인을 설치하는 방법도 있음
6.
commit 한 내역을 push한다.
상단바에서 Git을 누른 뒤 Push클릭 후 위와 같은 화면에서 branch를 확인한 후 push한다.
전승환_1005
Intellij에서 Git을 사용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것들
Intellij는 Git을 IDE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플러그인과 기능들을 제공한다.
.gitignore을 편리하게 생성할 수 있게끔 돕는 플러그인
Intellij에서 .gitignore 생성 방법
우선 .idea 폴더 아래에 있는 intellij에서 자동 생성한 .gitignore 외에 repository 아래에 임의로 .gitignore 폴더를 생성해준 뒤 위 작업을 진행한다.
Intellij에서의 Commit
커밋 창에서 기능 추가하는 방법
설명
커밋 전에 빠뜨리는 것이 없는지 한 번 더 확인시켜주는 부가적인 기능으로 보여진다.
Git 사용 시 주의할 점들
Git을 사용할 때 현재 Repository의 상태를 파악하지 않고 내부 파일의 변경을 요청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몇 가지 사항을 주의하여 Git의 커맨드들을 사용해야 한다.
원격 저장소에 파일 추가 후 Git pull 하지 않고 로컬에서 push
Intellij에서의 Push Reject 화면
해결 방법
Intellij에서의 Pull 방법
설명
Git Repository 생성 시 브랜치명이 master라고 설정되는 경우
Intelllij로 로컬 브랜치명 정정 방법
GitHub에서 원격 브랜치명 정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