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 09. 물리 계층의 역활과 랜 카드의 구조
1. 전기 신호란?
전기를 통해 전달하는 신호.
아날로그신호와 디지털 신호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전류,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연속신호.
주로 전화 회선, 라디오 방송에 사용된다.
디지털 신호
0과 1만 존재하는 비 연속 신호(이산 신호)
물리계층이란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 계층.
컴퓨터는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전기신호로 바꾸어주기 위한 기술
2. 랜 카드란?
•
컴퓨터와 전송 매체를 연결하는 장치
•
컴퓨터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프로토콜의 처리를 담당
•
컴퓨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
•
전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
•
NIC(Network Interface Card)라고 부른다.
LESSON 10.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1.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이란?
UTP 케이블, STP 케이블이 있다.
UTP(Unshielded Twist Pair) 케이블
실드로 보호되어 있지 않은 케이블.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지만, 저렴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STP(Shielded Twist Pair) 케이블
실드로 보호한 케이블
노이즈의 영향을 적게 받지만, 비싸다.
노이즈의 영향
노이즈를 받으면 신호의 형태가 왜곡된다.
UTP 케이블의 분류
데이터 전송 품질에 따라 UTP 케이블을 분류한다.
랜 케이블(LAN Cable)
UTP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랜 케이블이라 부른다.
2. 다이렉트 케이블과 크로스 케이블이란?
다이렉트 케이블
•
케이블의 배선 순서가 같은 케이블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케이블
크로스 케이블
•
케이블 배선 순서가 엇갈려 있는 케이블
•
서로 다른 계층간의 장비끼리 통신할 때 사용. (Hub to Hub, PC to PC)
1번 → 3번
2번 → 6번
위와 같이 연결된다.
사용하지 않는 선
다이렉트 케이블, 크로스 케이블 모두 4, 5, 7, 8번 선을 사용하지 않는다.
다이렉트 케이블 : 컴퓨터와 스위치를 연결할 때 사용
크로스 케이블 : 컴퓨터 간에 직접 랜 케이블로 연결할 때 사용
LESSON 11.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1. 리피터란?
•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는 장치. (물리계층)
•
일대일 통신을 지원
•
요즘은 허브 등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리피터의 기능을 지원한다.
2. 허브란?
•
랜을 구성할 때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장비들을 케이블 사용하여 연결하는 장치
•
여러개의 포트를 갖고 있어, 다수의 PC와 통신하며 네트워크를 구성
•
리피터와 멀티포트의 역할 제공
•
허브는 스스로 판단하지 않기에 더미 허브 라고 부른다.
•
받은 데이터를 연결된 모든 포트에 전송
→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스위치(스위칭 허브)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