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해야 할 사이트
•
◦
이메일인증
•
◦
이메일인증
•
•
•
•
•
◦
이메일인증
•
유용한 단축키
기초 키보드 사용법
•
Home : 줄에서 맨 앞으로 이동
•
End : 줄에서 맨 뒤으로 이동
•
Ctrl + Home : 맨 위으로 이동
•
Ctrl + End : 맨 아래으로 이동
•
Ctrl + C : 선택영역 복사
•
Ctrl + X : 선택영역 잘가내기
•
Ctrl + V : 붙여넣기
•
Ctrl + A : 전체선택
•
Ctrl + Z : 이전 히스토리로 한 단계 이동
•
Ctrl + Y : 이후 히스토리로 한 단계 이동
•
Shift + 키보드 이동 : 글 선택
•
Cabs Lock/Insert :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
Shift + 영문 소문자 입력 : 대문자 입력
codepen.io 세팅
•
•
Syntax Highlighting : High Contrast Dark or High Contrast Light 중 택1
•
Code Font Family : Hack
•
Format On Save : 체크
•
Autocomplete : 체크
중간질의응답
•
서버와 naver.com, naver의 컴퓨터는 같은 것을 의미 하나요?
◦
서버는 컴퓨터 입니다.
◦
즉 naver 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서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naver.com은 도메인으로, IP에 대한 별명입니다.
◦
naver.com은 네이버서버의 주민번호라고 볼 수 있습니다.
◦
cmd 에서 nslookup naver.com 명령을 입력하면 naver.com에 연결된 IP를 볼 수 있습니다.
•
http에 어떤 내용이 있을까요?
◦
HTTP 요청 패킷(네트워크 전송단위)을 만드는 방법
◦
HTTP 응답 패킷(네트워크 전송단위)을 만드는 방법
◦
HTTP 요청 종류
◦
HTTP 응답 상태코드
•
http://www.naver.com/:443 은 접속이 되는 반면 https://www.naver.com/:80 은 안되는 이유가 뭔가요?
◦
80은 보통 http만 받고, 443은 보통 https만 받습니다.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어야지만 서버가 처리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광고성 메시지는 저희가 요청을 하지 않아도 메시지가 오는거는 따로 보이지 않는 요청을 클라이언트단에서 하는건가요?
◦
보통 광고성 메세지는 웹페이지를 브라우저가 렌더링할때 추가적으로 요청하게 됩니다.
◦
보이지 않는 요청이 이뤄지고 있는게 맞습니다.
◦
물론 웹소켓이라는 다른 프로토콜을 추가로 이용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
http 통신 말고 웹에서 통신하는 방법이 있나요?
◦
웹소켓(ws, wss)이 있습니다.
윈도우 단축키 소개 영상
맥북 M1 필수 앱 CheatSheet 단축키 3초면 알 수 있는 앱 소개
중간질의응답
•
서버는 왜 리눅스 사용하나요 단순히 무료여서 그런가요?
◦
그게 가장 큰 이유 입니다.
•
펌웨어가 뭔가요?
◦
펌웨어의 예로 ROM에 상주하는 프로그램, OS의 부팅을 도와주는 프로그램, 바이오스 등이 있습니다.
•
컴퓨터 자원에 대하여 예시를 들어주세요
◦
CPU, 메모리, 디스크
•
휴먼 유저가 운영체제로 다이렉트로 접근하는 경우는 뭐가 있나요?
◦
보통 쉘을 이용해서 직접 명령을 내리는 경우를 말합니다.
•
바이오스도 펌웨어에 포함되나요?
◦
네, 맞습니다.
•
cmd는 유틸리티인가요? 쉘인가요?
◦
쉘이라고 봐도 됩니다.
•
그래픽 셸은 뭔가요?
◦
윈도우 탐색기 같은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
커널이 스케줄링을 담당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네, 맞습니다.
•
그럼 맥에 있는 터미널이 GUI인가요?
◦
TUI 입니다.
•
터미널과 원격 터미널은 무슨 차이가 있나요?
◦
터미널은 사용자 눈앞에 있는 물리적인 머신을 다루는 도구이고, 원격터미널은 원격지의 머신을 다루는 도구 입니다.
•
커널이 그럼 브라우저창이나, 여러 프로그램의 메모리 부족 에러의 원인인가요?
◦
정말로 메모리가 부족했을 수도 있지만, 커널이 자원분배를 효율적으로 못 했다면, 어쨋든 메모리 관리는 커널의 영역이니, 그 경우에는 커널 탓이라고 해도 됩니다.
•
터미널에서 관리자 권한으로 들어가는 건 어떤 차이인건가요?
•
CLI = TUI 로 이해해도 될까요?
◦
CLI, 터미널, 쉘, TUI는 그냥 동의어 정도로 이해하셔도 문제 없습니다.
•
쉘과 터미널의 차이가 있나요?
◦
엄밀히 말하면 차이가 있지만,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동의어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
ms dos는 쉘이에요? 아니면 tui에요?
◦
MS DOS는 TUI 운영체제이고, MS DOS안에 DOS 쉘이 있습니다.
•
커널을 포함한 커널 위에서 돌아가는 모든 시스템을 통틀어 OS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
추가로 설치한 응용 프로그램들은 OS로 분류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