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5세대의 무선 전화망에 대해 설명하시오.
1세대 무선 전화망: 아날로그 신호만 전송했다.
2세대 무선 전화망: 1세대 무선 전화망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면서 2세대 무선 전화망으로 진화했다. 같은 통신망에 아날로그 신호 대신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면 같은 통신 대역폭에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좋다.
3세대 무선 전화망: 기존의 전화 기능에 데이터 통신 기능을 추가하였다.
4세대 무선 전화망: 기존의 3세대 음성망으로 음성 통화르르 충분히 처리할 수 있어 음성망은 그대로 두고 데이터 통신을 고속으로 업그레이드했다. 이를 4세대 고속 음성 통화, 고속 데이터 통신과 구분하기 위해 3.9세대 통신인 LTE(Long Term Evolution)라 부른다.
5세대 무선 전화망: 현재는 초고속 무선통신이 가능한 5세대 통신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2. 네트워크 구성 방식인 강결합 시스템과 약결합 시스템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약결합 시스템(Loosely Coupled System)
•
각 프로세스마다 독립된 메모리를 각자 시스템으로, 분산처리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
둘 이상의 독립된 컴퓨터 시스템을 통신망(통신 링크)을 통하여 연결한 시스템이다.
•
각 시스템마다 독자적인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다.
•
각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호 통신을 할 수도 있다.
•
프로세스 간의 통신은 메시지 전달이나 원격 프로시저 호출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
•
각 시스템마다 독자적인 운영이 가능하므로 프로세서 간이 결합력이 약하다.
•
각 시스템마다 독자적인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다.
강결합 시스템(Tightly Coupled System)
•
동일 운영체제 하에서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다중 처리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
하나의 운영체제가 모든 프로세스와 시스템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
프로세스 간의 통신은 공유메모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
하나의 메모리를 사용하므로 프로세서 간의 결합력이 강하다.
•
공유 메모리를 차지하려는 프로세스 간의 경쟁을 최소화해야 한다.
◦
결합 교환 방법으로 해결
3.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구조와 미들웨어의 역할을 설명하시오.
작업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요청받은 작업을 처리하는 서버의 이중구조
•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에 서버 주소를 입력한다.
•
웹 브라우저는 HTTP를 이용하여 서버에 있는 HTML을 요청한다
•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 후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한다.
•
결과가 클라이언트에 도착하면 웹 브라우저가 그 내용을 화면에 출력한다.
•
대표적인 웹 브라우저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질라의 파이어 폭스, 구글의 크롬
미들웨어
•
양쪽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 역향을 하는 소프트웨어
•
미들웨어는 운영 체제와 해당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기본적으로 숨겨진 변환 계층으로 기능하는 미들웨어는 분산 응용 프로그램의 통신 및 데이터 관리를 가능하게 함
4. P2P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시오
양방향 파일 전송 시스템이며 중앙 서버 없이 각각의 컴퓨터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되어 파일을 주고 받는 것이다.
•
비용 저렴
•
사용자 수가 방대해져도 특정 단말에 부하가 집중되지 않는다
•
몇 개의 컴퓨터가 고장 나더라도 서비스 지속 가능
비구조적 P2P 시스템
•
전체 노드에 대한 정보는 서버가 가지고 있지만 실제 데이터 전송은 일대일로 연결된 말단 노드를 통해 이루어진다.
•
보내는 쪽이 프로그램을 중단하면 받는 쪽에서 데이터를 내려받는데 어려움이 있다.
•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모든 노드에 저장하여 관리 or 하나의 노드에 집중 저장하여 관리
구조적 P2P 시스템
•
각 노드가 전체 네트워크 정보가 아닌 부분적인 네트워크 정보를 유지 (비구조적 P2P 시스템의 단점 보완)
•
특정 파일의 소유자 정보를 여러 노드가 공유함으로써, 시스템의 한 노드가 사라지더라도 데이터 공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5. 고가용성의 의미와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형을 설명하시오.
고가용성
•
업무 또는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중화 작업을 하는 것
•
작게는 운영체제의 디스크 미러링부터 크게는 시스템 자체를 이중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
상시 대기
•
가장 단순하면서도 많이 사용되는 고가용성 구성의 유형으로, 가동 시스템과 백업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평상시에 대기 상태(Standby)를 유지하다가 가동 시스템의 하드웨어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면 가동 시스템의 자원을 백업 시스템으로 이전하여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게 한다.
상호 인계
•
2개의 시스템이 각각의 고유 서비스를 수행하다가 한쪽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면 상대 시스템으로 작업을 이동하여 동시에 2개의 업무를 수행한다. 각 시스템은 장애 발생으로 인한 업무 이전에 대비하여 2개의 업무를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 용량을 갖추고 있다.
컨커런트 액세스
•
여러 시스템이 동시에 업무를 나누어 병렬 처리한다. 시스템 전체가 가동 상태로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한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시스템으로 작업을 이동하지 않고도 고가용성을 보장한다. 이 구조에서는 두 클러스터가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L4 스위치를 이용하여 작업을 분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