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자바 소개 및 변수

작성 날짜
2022/09/21 16:30
작성자
팀원 전체

자바의 소개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
시장 점유율 4위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국내에서는 제일 많이 쓰는 언어이다.출처 - TOBE
제임스 고슬링 - 자바 언어 개발자 20~30년 정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처음 시작은 가전 제품에 들어갈 소프트웨어를 위해 개발, 1995년 정식 1.0버전 발표하여 플랫폼 호환성 문제 해결, 플랫폼 독립적인 언어 개발, 인터넷과 웹(jsp로 인한 서버 동적인 프로그래밍)의 엄청난 발전에 힘입어 퍼지게됨 현재는 오라클에서 자바 라이선스를 관리하고 있어 유료 라이선스이다. 오라클에 서 관리하지 않는 openjdk 라이선스를 보통 사용함. 컴파일러란 프로그래밍언어를 CPU(연산 장치)가 알아먹는 기계어(어셈블러)로 번역하는 과정 ex) 자바, c언어 인터프리터 언어 - 이런 과정이 없음 ex) 자바 스크립트, 파이썬

ㄴ프로그램의 종속성이란?

인텔 cpu를 가진 리눅스 환경에서 개발했을때, 같은 인텔 cpu리눅스 체제에서는 프로그램이 돌아가지만, apple이나 윈도우에서는 돌아가지 않음. 프로그램의 플랫폼(하드웨어 + 운영체제) 호환성이 없는 이유는
기계어가 cpu마다 다름
운영체제마다 API다름
운영체제마다 실행파일 형식이 다름
→ 자바의 플랫폼 독립적인 언어 개발을 통해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호환이 가능해졌다! 자바 응용프로그램 → 운영체제별 자바 가상 기계 (JVM) 프로그램→ 다른 운영체제에서 자바 프로그램이 호환이됨! 단점) JVM을 거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림

자바의 실행원리

ㄴ자바버전 요약

5.0(1.5) - 제네릭클래스, for each, 오토박싱, 열거형, 어노테이션
SE 8(1.8) - 함수형프로그래밍 지원, 람다형 표현, stream

ㄴJDK와 JRE의 차이는?

개발자용 통합파일과 실행차이의 차이

ㄴ실행

1. javac.exe : *.java 파일을 컴파일 하기 위한 java 컴파일러
2. java.exe : JVM을 구동시키기 위한 명령 프로그램

변수선언

메모리에 올리는것은 os가 각 프로그램의 메모리를 안겹치게 관리하는역할을 한다. 메모리에 올려진 데이터를 CPU가 연산하여 출력한다. 자바에서는 jvm이 OS에 요청하여 메모리를 올리는 방식이다.
자바는 예약어를 사용할 수 없다.
합성어의 의미가 바뀌는 단어는 대문자로 시작
초기화 - 변수에 값을 처음으로 할당하는 것

데이터 타입

1 byte = 8bit , 메모리의 최소 기억단위인 bit가 모여 byte 형성
기본 타입 8가지!
byte - 1byte
char - 2 byte
short -2 byte
int - ( 4 byte = 32bit ) +- 21억의 범위를 가지고 있음
long - 8 byte
float - 4 byte
double - 8 byte
boolean - 1byte

ㄴ컴퓨터에서 음의 계산하기

2의 보수법을 취하여 연산을 진행한다.
보수하여 1000000~ 더하기

ㄴ컴퓨터에서 실수 계산시 오차가 나는 이유

float는 소수이하 6자리, double은 15자리 정도까지만 보장하여 무한 소수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적당한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처리를 해 버리기 때문에 오차가 나게 된다.

문자

문자코드는 숫자와 문자의 일대일 매칭이다.
따라서 문자코드가 다를때 글자가 깨질 수 있다. UTF - 8 = 유니코드
문자 → 숫자 encoding 숫자 → 문자 decoding

왜? 자바는 int가 defalut 일까?

메모리관리에 유용한 4byte단위로 사용할 수 있어 용의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