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생 친밀도 건
•
교육생 친밀도가 낮은 이유
◦
과제나 실습하는 난이도가 쉬워서 같이 고생을 안해서 친밀해지기가 어려운 원인
•
요청
◦
난이도를 올려서 교육생들이 고생을 하도록 진행 요청
•
강사님 답변
◦
목요일부터 미니프로젝트 진행 예정 → 아주 어렵게 진행할 예정
2. 과제 난이도 상향 건
•
과제 변별력
◦
과제 난이도가 낮아서 변별력이 낮음
•
프로젝트
◦
메모 프로젝트 기존대로 진행 예정
◦
게시판 프로젝트 전에 뭔가를 해서 변별력을 갖추게 함
▪
조원들이랑 같이 상의해서 만들게 하도록 함
▪
과제 평가해보면 조 별로 다름
▪
코틀린 중간평가 시에도 점수를 많이 깎아 주셨음
◦
목요일부터 진행될 미니프로젝트는 완성된 어플을 주고 강사님과 학생들이 같이 만들도록 진행할 예정 → 조별로 잘하는 사람이 도와주는 것으로 파악됨, 강사님이 내주신 예제와 다르게 동작할 경우 점수를 깎았음 → 차지훈님과 오준용님은 점수가 낮음, 메모 프로젝트에서 변별력을 갖추려해도 조원들끼리 하다보면 점수가 높아짐, 차라리 개인프로젝트로 진행하는 것은 어떨지?(강사님 요청)
•
낮은 성적 교육생
◦
잘하는 교육생들끼리 낮은 성적 교육생을 도와주다보면 낮은 성적 교육생이 성장이 안됨
◦
요청
▪
난이도별로 과제를 주고 선택해서 진행할 수 있도록 과제 주기
◦
피드백
▪
어려운 과제 1개를 내주고 팀 내에서도 도와주지 않고 각지 문제 풀이해서 제출할 수 있도록 진행하는 방향?
•
실력대로 문제 풀이할 수 있도록 안내 (서로 도와주지 않도록, 안 풀어도 된다 이런식으로 공지) → 메모 프로젝트 부터 진행하는 방향
3. 결론
•
메모 프로젝트
◦
평가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구성
◦
서로 도와주지 말고 개인적으로 진행 > 결과를 받아보고 3가지 ~ 4가지 그룹으로 나눈 뒤 최하위 그룹만 매일 마지막 2시간을 학생들을 위한 시간으로 사용
◦
나머지 그룹에게는 문제를 주어 스스로 풀 수 있도록 함
•
게시판 프로젝트
◦
먼저 풀고 강사님과 같이 풀어보는 방향
◦
조별로 진행 예정
•
수준이 낮은 교육생
◦
문제를 따로 주고 끝나기 2시간 동안 들을 사람은 들을 수 있도록 문제 풀이를 해주시는 방향 (선택하여 들을 수 있음, 개인프로젝트 하고 싶은 사람은 안 들어도 됨)
◦
쉬운 문제부터 시작해서 어렵게 진행
◦
잘하는 집단, 실력이 낮은 집단 끼리 묶어서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