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설문조사 결과 요약 (2025.08.05)
총 28명의 수강생이 설문에 참여해주셨습니다.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은 편이나, 강의 속도와 개념 설명 방식에 대한 상반된 의견과 운영상 개선 요청이 있었습니다.
항목별 만족도 요약
•
강사: 전반적으로 긍정적(4-5점) 평가가 다수였으나, 일부 수강생(2-3점)의 부정적 평가도 있었습니다.
•
보조강사 (이유진, 이재영): 두 분 모두 압도적으로 높은 만족도(대부분 5점)를 보였습니다. 특히 어려운 내용을 따라가는 데 보조 강사님들의 보충 설명이 큰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
강의 내용 및 자료: 실무 연관성과 내용 구성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일부 수강생은 자료의 핵심 구성과 강의 내용의 충분성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
교육 운영: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중요 공지 시점 등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었습니다.
좋았던 점 (Strengths)
•
실습 중심의 강의: 크롤링, 판다스 데이터 분석 등 직접 실습하는 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습니다.
•
SQL 복습: 이전 내용을 복습하는 시간이 개념을 다지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
실무 연관성: ADSP 관련 내용이나 통계 등 실무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을 배우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
수강생 의견 반영: 설문을 통해 추가 학습 내용을 정하거나, 익명 투표를 도입하여 의견을 편하게 낼 수 있었던 점이 좋았다는 피드백이 있었습니다.
•
오전 복습: 전날 강의 내용을 오전에 복습해주는 방식에 대한 만족 의견이 있었습니다.
개선 제안 및 주요 의견
1. 강의 속도 및 난이도
•
(다수 의견) "속도가 빠르다": 새로운 개념을 접할 때 강의 속도가 빠르다고 느끼는 수강생들이 있었습니다.
◦
특히 한 수강생은 "강의 속도에 대한 피드백이 꾸준히 나오는데 적용되지 않아 아쉽다"며, "이해하지 못한 채 진도를 넘어가 GPT에 의존하거나, 정규 강의 후 보조강사에게 1-2시간씩 보충 설명을 들어야 따라갈 수 있다"는 심층적인 의견을 남겼습니다.
◦
초보자 입장에서는 이론이나 개념을 확실히 짚고 넘어가 주길 바라는 요청이 있었습니다.
•
(소수 의견) "속도가 느리다": 반대로 진도를 조금 더 빠르게 나갔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2. 강의 내용 및 설명 방식
•
사전 개념 설명 요청: scipy, ols, glm 등 처음 보는 함수나 용어가 나올 때, 코드 실습에 들어가기 앞서 간단한 개념 설명(무엇인지, 언제 쓰이는지)을 추가해달라는 요청이 반복적으로 제기되었습니다.
◦
"파이썬, 판다스, 넘파이의 차이점 등 전체적인 그림을 설명해주시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
통계 개념의 체계적 설명 부족: 한 수강생은 통계 개념(p-value, t-test, anova 등)에 대해 명확한 정리와 설명 없이 '일단 해보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점에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강사 내부적으로도 개념이 명확히 정리되지 않은 것처럼 들린다는 날카로운 지적이 있었습니다.
•
피드백 수용 태도: "강의 중 설문조사 내용을 반복적으로 언급하거나 해명하는 부분이 다소 부담스럽게 느껴진다"며, "개인 의견으로 가볍게 받아들여 주시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3. 운영 및 기타
•
중요 공지 시점: 수료 요건이 걸린 시험을 하루 전에 공지한 점이 아쉬웠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최소 1주일 전에는 공지해달라는 요청입니다.
•
강의 자료 구성: 강의 자료를 다운로드했을 때 순서가 섞여 있어 보기 불편하다며, 자료 앞에 통일된 번호를 붙여달라는 제안이 있었습니다.
•
추가 학습 요청: 정적 크롤링 외 동적 크롤링에 대해서도 배워보고 싶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이민희 수강생 이슈
•
강의 품질을 해치는 날 것의 채팅이 너무 잦음
•
수강생들의 민원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