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4장. 밀러의 법칙- 0429

핵심 요약
‘마법의 숫자 7’을 내세워서 불필요한 디자인 제약을 정당화하지 마라.
사용자가 쉽게 처리하고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게 콘텐츠 덩어리를 작게 나눠 정리하자.
단기 기억 용량은 사람에 따라, 그리고 기존 지식과 상황적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기억하자.

개요

휴리스틱

기원

1956년, 마법의 숫자 7 더하거나 빼기 2: 정보 처리 용량에 관한 몇 가지 한계 [논문]
graph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와 인터랙션하는 시간과 인터랙션할 선택지 개수의 직접적 상관관계)
심리학 개념
덩어리화(chunking): 인간의 단기 기억은 한계가 있고 정보를 덩어리로 만들면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암기할 수 있다.
HTML
복사

사례

전화번호
Wall of Text 흝어보거나 처리하기 어려운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가중
Bloomberg 모듈별로, 규칙에 따라, 체계가 부여되어 콘텐츠끼리 나누기
Nike.com 1. 제품 이미지, 제품명, 가격, 제품 유형, 색상 종류 등 비슷한 정보끼리 가까이 모아두기 2. 마법의 숫자 7 ?
심화학습
마법의 숫자 7
마법의 숫자 7 "밀러의 법칙이 의미하는 바가 단기 기억이 한 번에 저장되고 처리할 수 있는 항목 개수가 7±2개 이기 때문에 연관된 인터페이스 요소의 개수를 그 이하로 제한해야 한다" (오해) 나이키닷컴 개수는 7개가 넘지만, 카테고리별로 명확하게 정리하고, 여백을 잘 활용하며, 세로 선을 넣어 하위 그룹을 분리한 덕에 목록을 쉽게 훑어볼 수 있다. 단기 기억에는 한계가 있으며, 정보 비트를 유의미한 덩어리로 정리하면 단기 기억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것 개수 중요X(덩어리 개수는 사용자의 배경지식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HTML
복사

정리

1. 정보 과잉이 야기하는 필연적인 과부하는 임무를 완수하는 우리의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사용자가 이해하고 기억해야 할 정보가 많아짐에 따라 정보의 과부하는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 2. 콘텐츠를 적절한 크기의 덩어리로 나눠서 정리한다면 사용자가 정보를 더 쉽게 처리하고 이해하고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