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CLD2] 주강사용 교육 가이드

교육개요 및 AWS 계정 정보

KDT(K-Digital Training) 교육개요
모집 기간
24.09.03(화)~2024.10.22(화)
교육 기간
24.10.24(목)~25.03.25(화)
교육 인원
40명 목표
교시
시간
1교시
9:00~9:50
2교시
10:00~10:50
3교시
11:00~11:50
점심 시간
11:50~13:00
4교시
13:00~13:50
5교시
14:00~14:50
6교시
15:00~15:50
7교시
16:00~16:50
8교시
17:00~18:00
수업 종료
17:50~18:10
AWS 계정 정보
계정정보
ID
PW
AWS1
(업뎃 예정)
(업뎃 예정)
AWS2
(업뎃 예정)
(업뎃 예정)
클라우드 2기 AWS 총 예산 (전체 교육기간의 예산)
techsolutionlab_1rt_2024@likelion.net(일반 루트 계정)
25년 1월: 백오십만원
25년 2월: 백오십만원
25년 3월: 백오십만원
techsolutionlab_2rt_2024@likelion.net(일반 루트 계정)
25년 1월: 백오십만원
25년 2월: 백오십만원
25년 3월: 백오십만원

클라우드 2기 커리큘럼 시간표

2024.10.21.버전 (위탁계약변경인정 최종 시간표)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부트캠프 2기_HRDNET시간표_241021.xlsx
107.9KB

교육시간 상의 특이사항

일자
상세 내용
24.10.24 오전 10시 개강
* 오후 10시 개강* OT 진행 10:00~11:50* OT 진행 13:00~13:50* 수업진행 14:00~18:00* 수업종료 18:00
24.10.25~2025.02.04
해당기간은 수업시작과 종료시간이 동일* 수업시작 09:00* 수업종료 18:00
25.02.05 오후 1시 수업시작
* 수업시작 13:00* 수업종료 18:00
25.02.06~25.03.24
해당기간은 수업시작과 종료시간이 동일* 수업시작 09:00* 수업종료 18:00
25.03.25 오후 1시 수료식 시작
* 수업시작 13:00* 수업종료 17:00해당일은 수료식 4시간 진행하고 끝

필수 링크 모음

링크 모음

디스코드 링크: https://discord.gg/S8fp8Rgf
빌링온 링크: (업뎃 예정)

업무내용

1. 커리큘럼 관련

주강사 님께서는 개강 이전 담당자와 소통하여 제작된 HRD-Net 커리큘럼 대로 반드시 진행해주셔야 합니다. 국가 사업이다 보니 정해진 커리큘럼과 상이한 내용으로 수업을 진행하면 패널티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주강의 시간

커리큘럼 상 주강의 시간일 때에는 주강사 님께서 훈련생 분들에게 정상적으로 수업을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이 때, 훈련생 분들이 이해하기 쉽게 교안을 본 수업 전에 미리 준비해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교안은 해당 부트캠프 공식 노션페이지 또는 디스코드에 업로드해주시면 됩니다.
추가로 교안을 제작하기 어려운 내용(코드)이라면 토글 형식으로 안에 코드를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예시
Delete todo

3. 비강의(프로젝트) 시간

커리큘럼 상 비강의(프로젝트) 시간에는 훈련생 분들이 개인 또는 팀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시간입니다. 이 때, 주강사 님께서는 훈련생 분들에게 멘토링 및 프로젝트 진행 현황을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혹여나 일부 훈련생의 프로젝트 진행 속도가 더뎌 한 사람에게 시간이 너무 소요되는 경우, 보조강사 님께 훈련생을 토스해주시고 다른 분들을 케어해주시면 됩니다.

공통 사항

주기적으로 운영진과 회의를 진행할 때에 간단한 내용들을 정리하여 공유해주시면 됩니다. (ex. 강의 진행은 어떠하였는지, 해당 훈련생의 특별 케어가 필요, 프로젝트가 조금 더 개선되었으면 좋겠다 등)
전체 훈련생과의 면담이 필요하신 경우 사전에 멋쟁이사자처럼 운영진과 상의하여 진행해주세요.
운영진이 필요한 상황 (강의 퀄리티가 더 개선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내용도 상관 X) 이라면 언제라도 편하게 말씀해주세요.

주강사 데일리 업무 리스트

주강사 공유용 구글드라이브를 참고해주세요
매일 강사일지 작성 필수 - 구글드라이브
매일 교안 업로드 필수 (PDF 형식) - 구글드라이브, 디스코드
KDT 시간표에 맞는(커리큘럼 순서에 맞는) 강의 진행 필수
수강생들 학습 독려 및 질의응답, 응대
커리큘럼 타임라인별 수강생들 취업준비상태 간략하게 파악

부트캠프 지원자 자소서 내용

1. (질문)선행 학습한 내용이 있다면 배운 내용을 간략히 작성해주세요.

파이썬 기초, HTML/CSS/JS 기초, 인공지능 오픈소스 활용, GIT 광주인공지능사관학교에서 인공지능에 대해 학습하고 스타트업 기업에서 인공지능 오픈소스 모델 활용 및 개발 업무를 수행한 적이 있습니다.
기본구조에 대해서만 알고있으며, 멀티클라우드 도입검토 및 벤더사와 커뮤니케이션등의 업무를 진행하였습니다.
삼성청년 SW 아카데미 1600시간 교육을 수료한 경험이 있습니다. AWS EC2 서버에서 java와 Spring Framwork를 이용한 API 서버를 구축하였지만, API개발에만 집중하다 보니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한 경험은 없습니다. 이 교육을 통해 1. Java, Spring Framework, JPA, MyBatis, HTML/CSS/JavaScript, 기초 알고리즘 2. SNS 큐레이션, 빅데이터 분산, 게시판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리눅스는 우분투(Ubuntu)로 배웠으며, 커널, 파일 시스템, 사용자 및 권한 관리, 네트워크 관리 등 기본 개념을 학습했습니다. Docker는 이미지, 컨테이너, Dockerfile 등의 핵심 개념을 배웠습니다. Kubernetes는 Pod, Node, Cluster 등 컨테이너 관리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이해했습니다. 마지막으로 AWS는 EC2, S3, RDS 등의 서비스를 통해 가상화된 컴퓨팅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을 익히고 실습 또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학습을 통해 클라우드, 컨테이너, 인프라 관리의 기초를 다졌습니다.
Python API 서버 개발. ChatGPT API 이용한 게임 개발(API 서버). Java Spring 기초 수준. AWS ec2로 배포 기초. 인턴 시 Django Restframework로 API 부분 개발 참여(기초)
IT 개발 프리랜서로 경력 20년 입니다. 다양한 웹 프로젝트(java, jsp, nodejs, python, Rich Web, FrontEnd, BackEnd) 환경의 경력이 있습니다.
원데이원커뮤니케이션 개발팀 인턴으로 근무하며 AWS ec2, ecs, eks를 활용한 배포 경험 및 gitlab-runner 를 통한 CI/CD 파이프라인 구축 경험이 있습니다. 또한 오비맥주 Data Analytics & Engineering 팀 인턴근무기간 동안 GCP, Azure Databricks 및 Azure DataFactory를 활용한 배치 파이프라인 구현 및 스케쥴링 작업을 직접 수행하였습니다. 위 클라우드 경험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cka, aws devops professional, azure data engineer associate 등의 자격증을 취득하는 노력을 했습니다.
컴퓨터 공학과를 전공하면서 자바와 자바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알고리즘, 자료구조, 운영체제 등의 컴퓨터 지식을 배웠지만 세부전공 선택으로 인해 백엔드 관련 지식은 배우지 못했습니다.
자바, 자바스크립트, 스프링 crud개발, 도커를 활용한 서버 배포( 리눅스 사용), 카프카 컨슈머 개발(겉핥기로 한번 만들어봄), mysql사용 dml 사용하여 데이터 저장 혹은 관리
대학교에서 배운 내용들이 있지만 사실 대학교에서 제가 배운 것들은 너무 어렵기도 했었고 제가 공부도 그만큼 덜 하기도 하였어서 무엇을 따로 선행했다고 하기에 애매하다고 생각합니다.
인프런 인강과 도서를 통해 HTTP, java, spring 기초, 기본원리, spring MVC와 타임리프 조금?, JPA와 QueryDsl 학습하였고, DataBase의 경우 MySQL을 공부하였습니다! 강의를 단순히 듣고 끝내는게 아니라 나름 예제코드들을 직접 작성하고, 설명을 듣고, 다시 동작해보고, 모르는 부분들은 찾아가면서 공부해왔어요. 사실 비전공자에 공부를 시작한것도 올해 1월부터 시작한거라, 다른분들보다 많이 부족하겠지만 스스로 1월부터 매일 빠지지않고 꾸준히 공부해서, 인프런에 김영한님 javadhk spring 강의는 거의다 2과목제외하고 모두 수강 완료했습니다. DataBase의 경우 도서를 통해서 혼자 SQL문법을 공부했고, DataBase설계와 원리에도 관심이 많아서 꾸준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때 네트워크 전공으로 네트워크 기초나 vm ware 사용 경험 있습니다. 또한 전에 국비 지원으로 퍼블리싱을 배워서 html, css 등을 사용 가능합니다. 기초적인 리눅스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Java, Spring 인터넷 강의로 백엔드 관련 지식을 쌓기 위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SQLD 자격증을 따기 위해 관련 강의를 들으며 SQL에 대한 공부를 하는 중입니다.
대학 시절 다양한 산학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백엔드 개발 역량을 키웠습니다. 특히 기존 레스토랑 예약 시스템을 리팩토링하는 과정에서 레거시 코드를 분석하고 개선하며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서버 개발 능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또한 산학 협력 프로젝트 복약 알림 앱 개발참여해 알람 구현과 배포를 담당했습니다. AWS의 EC2, RDS, Route53을 이용해 서버를 빌드하고 배포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서버 개발뿐만 아니라 실제 서비스 배포 경험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배포 이후 클라우드 아키텍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부족했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단순히 배포에만 집중하다 보니 시스템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해 트래픽 증가 시 대응 방안이나 성능 최적화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부트캠프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실제 현업에서 필요한 대규모 트래픽 처리 능력과 효율적인 배포 기술을 습득하고 싶습니다.
백엔드 개발을 하며 AWS를 다룬 경험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테라폼, ECS를 학습한 적이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오케스트레이션에 관심이 생겼고, 로컬 환경에서 minikue를 이용해 간단한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습니다.
쿠폰, 기프티콘 기능이 구현되어있는 개인 사업체(카페)의 커머셜 서비스를 1년 넘게 운영중에 있습니다. 스프링부트를 활용해 서버단을 구현하였고,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결제 내역을 저장하기 위해서 별도의 원장 데이터베이스를 두어 보관하는 과정을 비동기로 처리하게 구현해두었습니다. 또한 여러 결제수단 엔티티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전략 패턴을 활용해 동적으로 convert 하여 구현해두었습니다. 인프라의 경우엔, 과거에 프로젝트 deploy 시에 항상 aws 를 이용해왔기 때문에 기본적인 iam 구성이나 alb, 간단한 람다 사용등 경험이 있고, 프로젝트에서는 운영비용 최소화를 위해 aws 프리티어를 1년마다 변경하여 사용중이고, 편의를 위해 테라폼을 활용했지만 해당 강의를 통해 깊이를 키워보고 싶습니다. 자격증의 경우에는, 정보처리기사와 sqld 를 취득한 상태이고 현재 AWS 의 SAA-03을 준비 중에 있으며 과정을 진행하면서 CKA 자격증을 추가로 취득할 계획입니다.
대학에서 수강했던 수업 목록입니다.
CS 108 - Intro to Computing / 4학점
CS 112 - Intro to Data Structure / 4학점
CS 212 - Data Structures Algorithms / 3학점
CS 214 - Programming Language Concepts / 3학점
CS 232 - Operating Systems and Networking / 3학점
CS 262 - Software Engineering / 3학점
CS 336 - Web Development / 3학점
CS 342 -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3학점
CS 364 - Computer Security / 4학점
ENGR 220 - Intro to Computer Architecture / 4학점
CS 195 - Computing Seminar
CS 295 - Computing Seminar
커리큘럼과 관련된 내용으로는 Java 언어 기초, 컴퓨터네트워크, AWS 기초를 학습한 상태입니다. 컴퓨터네트워크는 3학년 1학기 전공 과목으로 수강했으며, 이 수업을 통해 인프라에 대한 관심이 생겼습니다. Java와 AWS는 개인적으로 유튜브 영상을 통해 공부했습니다. Java의 경우, 언어 자체에 대한 깊은 이해는 아직 부족하고, 인터넷 검색을 통해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AWS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AWS 기초 지식을 다루고 간단한 실습을 진행하는 영상을 보며 IAM, EC2, AMI, EBS, Auto Scaling, ELB, EFS, VPC, S3 등의 서비스를 얕게 학습했습니다. 이 서비스들이 제공하는 기능과 간단한 관계에 대해서는 이해하고 있지만, 깊이 있는 학습은 부족한 상태입니다. 이번 멋쟁이사자처럼 클라우드 부트캠프를 통해 기존 지식을 심화하고, 도커와 쿠버네티스 같은 새로운 기술을 익혀 클라우드 엔지니어로서의 기틀을 다지고 싶습니다.
자격증 취득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 정보처리기사
교양강좌 수강(2019년 폴리텍 1년 직업훈련과정)
· 아두이노 활용 제어 기초
모집공고 확인 후 『개발자 상식』(박민경, 로드북)과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강민철, 한빛미디어)를 읽음. 맥북에 자바 및 이클립스 설치 후 Hello, World! 출력
관련 경력으로 it 서비스 개발 풀스택으로 2년 있습니다. 커리큘럼 보고 추가적으로 잘 모르는 부분은 선행 할 예정입니다. 이 외에도 현재 자격증이 없어 sqld와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준비중에 있습니다.
퇴사 이후 6개월간 국가기간 교육으로 쌍용교육센터에서 JAVA 웹개발 과정을 수료했습니다. 과정 중 학습한 내용은 JAVA, SPRING, ORACLE, HTML, CSS, javascript 등을 학습하였습니다. 외에도 개인적으로 Kotlin, linux 를 학습하고 있습니다.
Python, Java 기초 문법을 [인프런]이라는 교육강의 사이트를 통해 수강한 이력이 있습니다. MySQL을 문법으로 배운적은 없으나, 이미 있는 코드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추출하는 작업을 했었습니다. 제가 직장을 다닐때 대규모의 트래픽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기업에서 일을 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그래서 SQL 코드는 어느 테이블에 어느데이터가 위치해있는지 유추해볼수 있는 정도입니다. 또한 특정 날짜, 시간을 조회하고 싶을때 일부 코드를 수정해야 추출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데이터시각화 및 보고서 작성을 위해 데이터를 다뤘던 경험이 있습니다. 기존 온프레미스 방식에서 클라우드로 점차 변해나가고 있는 기업환경에 조금 더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자 직무 변환을 도전해보고 싶습니다.

2. (질문)클라우드 엔지니어링 부트캠프 2기에 기대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부트캠프 2기에 참여하여 클라우드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습득하고 싶습니다. 이전에 인공지능 오픈소스 활용 및 개발 경험이 있으며, AWS EC2를 사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지만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느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무에서 클라우드를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멋쟁이 사자처럼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부트캠프 2기로 대용량 데이터/트래픽 경험을 한 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 이를 통해, 취업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싶습니다. 또한 AWS CKA 자격 취득에 도전하고 싶습니다. SQL, DB, Docker에 대한 개념을 학습하고 싶습니다. 경쟁력있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전면 몰입할 자신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기술을 깊이 있게 습득하고 이를 통해 실무에서 활용 가능한 역량을 키우는 것입니다. 특히 AWS, Kubernetes, Docker와 같은 주요 기술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며, 개인적인 기술 수준을 한 단계 높이고 문제 해결 능력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전문가로 성장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서비스 배포 과정을 아는 정도에 그치지 않고 추후의 운영과 관리 등도 고려하면서 가장 좋은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한 후에 적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 적용에 능숙할 정도가 되었으면 좋겠다
AWS자격증을 취득하여, 프리랜서로서 향후 해당 업무에 맞는 프로젝트에 투입되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감사하게도 인턴근무 중 클라우드를 경험할 기회는 많았지만, 산업공학과 특성상 계속하여 관련지식을 공유하며 발전할만한 학우분들을 찾는 일은 쉽지 않았습니다. 이 부트캠프를 통해 현업에서의 트러블슈팅과 Best practice를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부트캠프를 통해서 지금까지 못해봤고 앞으로 필요할 경험을 쌓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백엔드 개발자를 목표로 하는 저에게 대학교를 다니면서 배우지 못했던 백엔드 관련 지식, 스프링 부트 지식, 클라우드 인프라 지식을 배울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고 무엇보다 개인 프로젝트에서 다루지 못하는 대규모/대용량 트래픽 경험을 쌓을 수 있다는 부분이 가장 큰 매력이었습니다. 또한 팀 프로젝트 경험이 적어서 부트캠프에 지원한 열정있는 수강생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할 수 있게 되면 저에게 좋은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깊게 다루지 못했던 대용량 트래픽 데이터, aws 사용, 처리 방법이나 부족했던 백엔드 지식을 보완하고싶고 회사 다니면서 겉핥기로만 알던 서버배포 방식을 정확하게 익히고싶습니다 나아가 누구의 도움 없이 프로젝트 서버 세팅부터 후반 서버 배포까지 정확이 배우고 싶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을 하지는 못하더라도 취업할 수 있을 정도로 배우는 게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대학교 4학년 2학기를 다니고 있지만 제가 이해한 것들이 대다수가 없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지식을 얻고 꼭 취업하고싶습니다
올해 1월 부터 혼자서 Java,Spring, JPA, MySQL을 인강과 도서로 공부해왔습니다. 기본적인 이론과 원리들을 예제 코드를 따라해보고 모르는 부분들은 스스로 고민하고, 검색하고, 책으로 찾아보면서 공부해왔습니다. 배포와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서도 중요하다고 생각했기에 AWS는 Developer 자격증 공부를 하면서 책과 함께 조금씩 공부중입니다. 제가 혼자서 계획해서 공부중인데, 배운것들에 대해서 좀더 활용하고 실제 어떻게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배포하고 서비스를 하는것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던 중에 해당 부트캠프를 보게 되었습니다. 특히 어떻게 준비해야할까 라고 고민했던 리눅스나, AWS에 대한 깊은 지식과 활용, 그리고 spring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구축,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통한 배포 등에대해 배우고 직접 경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고, 제가 고민해왔던 과정들이 같이 있어 기대가 됩니다.
저는 배울 준비가 되어 있으니 좋은 강사진으로 기본기를 탄탄하게 잘 가르쳐 주시고 모르는 것들이 있을 때 바로바로 질문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커리큘럼이 마음에 들어 선택한 멋사 부트캠프인 만큼 저의 역량 강화에 기대하고 있습니다.
백엔드 관련 지식에 대해 깊이 있게 공부 후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에 성공하고 싶습니다.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부트캠프를 통해 백엔드 관련 전문적인 지식을 쌓고 해당 기간에 SQLD,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공부를 하며 취업 성공을 위한 노력을 할 것 입니다.

논의 사항

정규 수업 교안 배포 방식
AWS SAA / CKA 자격증 응시 비용 지원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