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FIFO 변형 페이지 교체 알고지름 중, 대상 페이지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사용하여 포인터가 큐의 맨 바닥으로 내려가면 다음에 다시 큐의 처음을 가리키게 하는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은 무엇인가?
→ 시계 알고리즘
•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개선한 알고리즘으로는 2차 기회 페이지 교체 / 시계 알고리즘이 있다.
•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이용하는 큐의 종류이다. 시계 알고리즘은 원형 큐를 사용한다.
•
참조 비트를 하나 추가하여 FIFO 방식에 비해 빈도성을 고려하였다.
•
참조비트만을 추가하므로 메모리 추가 공간이 적게 들지만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계산량이 많다
•
동작 방식
◦
중요한 점은 참조비트가 1인데 대상 포인터로 가리키게 되면 숫자를 0으로 줄어들게 하고 포인터가 다음 페이지로 이동한다는 것.
15.
하드디스크의 입출력이 많아져서 잦은 페이지 부재로 작업이 거의 멈춰버린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 스레싱
•
메모리 공간이 충분할 때에는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계속 올라오지만, 메모리가 부족한데 새로운 프로세스가 실행되면, 스왑아웃이 잦아져 페이지 부재가 잦아진다. 이로 인해 작업이 멈춘것 처럼 보이는 것을 말한다.
•
멀티프로그래밍 정도와 비례 관계이다.
◦
프로그램 수가 많아질 수록, CPU 사용률은 증가하는데. 메모리가 꽉 차면 CPU가 작업하는 시간보다 스왑인/스왑아웃 작업이 빈번해져 CPU 사용량이 줄어 드는 것을 볼 수 있음.
•
스레싱 발생 지점 threshing point
◦
메모리가 꽉 차서 CPU가 작업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는 시점
◦
물리 메모리가 작으면 스레싱 발생 지점에 빨리 도달하여 컴퓨터가 전체적으로 느린 것
16.
동적 프레임 할당 방식 중, 최근 일정 시간 동안 참조된 페이지를 집합으로 유지하고 이 집합에 있는 페이지들을 물리 메모리에 유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 작업집합모델(working set model)을 사용한 동적 할당 방식
•
지역성 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최근 접근)
최근 일정 시간 동안 참조된 페이지들의 집합을 만들고, 집합에 있는 페이지들을 물리 메모리에 유지한다. = 프로세스 실행 성능 개선 가능
어떤 프레임을 물리 메모리에 유지할지는 알지만 얼마나 할당할진 알 수 없다 = 스레싱 문제 해결 불가 → 페이지 부재 빈도 이용
•
작업집합 크기
◦
작업집합에 들어갈 최대 페이지 수
◦
작업 집합 크기가 5라는 것은 페이지에 다섯 번 접근할 때마다 작업 집합을 갱신한다는 의미
•
작업집합 윈도우
◦
현재 시점에 최대 어느 범위까지의 페이지를 살펴 볼건지
◦
이 크기에 따라 프로세스의 실행 성능이 달라진다.
크게 잡으면, 메모리 낭비되어 다른 프로세스에 영향
작게 잡으면, 필요한 페이지가 스왑영역으로 옮겨져 성능이 떨어짐
•
동작방식
17.
동적 프레임 할당 방식 중, 페이지 부재 비율의 상한선과 하한선을 설정하고 페이지 부재 비율이 상한선을 초과하면 할당 프레임을 늘려주는 것은 무엇인가?
→ 페이지 부재 빈도를 사용한 동적 할당 방식
•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페이지의 양을 동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으로 페이지 부재 빈도를 이용한 것.
•
페이지 부재 비율의 상한선과 하한선을 설정하여 프레임을 추가 할당/회수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