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회의 주제
•
쇼핑몰 주제 결정 → 종합 쇼핑몰 or 일반 쇼핑몰
•
유사 서비스(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분석 → 차별점 & 장단점
•
최종 프로젝트 주제 회의
II. 회의 내용
1.
Project 주제 결정 → [반려용품] [재능기부]
•
반려용품 : 조형찬, 정주성, 김예린, 이상준 → 쇼핑몰 프로젝트
•
재능기부 : 조형찬, 이상준, 김예린, 서경원, 정주성 → 최종 프로젝트 주제
2.
유사 서비스에 대한 분석
[반려용품] | 장점 | 단점 |
퍼피독
(서경원) | 텍스트 없이 아이콘 만으로 명확한 의미전달
AppBarLayout, NavigationDrawer등
다양한 UI 요소들이 존재 | 한 화면에 동일한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 다수
Web 이기 때문에 App보다 UX가 떨어짐 |
펫토리아
(조형찬) | 1. 상담용 플로팅 아이콘이 화면에 존재
UI가 그림을 이용해 귀여움 | 1. 댕댕픽, MD픽, 집사픽 등등 다양한 베스트가 존재해 혼란스러움
2. 최저가/노마진, 100원특가, 임박상품 비슷한 카테고리가 존재
3. 강아지/고양이 외에 다른 동물 용품은 없음
4. 메인화면에 있는 카테고리가 NavigationDrawer에 중복 되어있어 불필요하다는 느낌이 강함 |
핏펫
(정주성) | 사료를 나이대별로 분리해두었다
반려용품에 대한 정보 뿐만아니라, 동물병원에 대한 정보 또한 얻을 수 있다
강아지, 고양이 부분에 대한 화면이 서로 분리 되어있다 | 너무 다양한 카테고리가 존재해서, 사용자가 정보를 찾는데 혼잡함 |
펫프렌즈
(이상준) | 1. 인기 검색어 기능
2. 프로필 설정 맞춤 상품 추천
3. 고양이와 강아지 쇼핑 구분
4. 입양 카테고리
5. 현재 몇 명이 상품을 조회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1. 카테고리가 지나치게 많다.
2.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아서 구매할 수 있다 |
아가새농장
(김예린) | 카테고리 세분화 및 브랜드별 모아보기
초보자를 위한 필수 용품을 따로 볼 수 있음
사료나 간식을 소분 판매하여 반려동물이 좋아하는지 확인해볼 수 있음
자체 캐릭터를 제작하여 홈페이지 제작에 사용하거나 굿즈 판매 | 옛날 방식의 로그인, 회원가입 기능(SNS 연동 기능이 적음) |
[재능기부] | 차별점 | 장점 | 단점 |
재능마켓 긱몬
(김예린) | 인앱 페이 사용시
수수료 없음
카테고리의 세분화
판매자의 접속시간
확인 가능 | 낮은 연령대가
관심을 가질 여러 재능 존재 | 활동 지역을 인증해야
재능기부 가능 |
크몽
(이상준,
정주성) | 포트폴리오 확인
카테고리의 세분화
인증 시 전화통화 가능 | 깔끔한 UI
카테고리의 세분화
거리에 대한 제약 X | 흰색 화면을 구분하기 어려움
찜과 붉은 색이 구별되지 않음
다크모드 미지원 |
숨고
(조형찬) | 세세한 카테고리
높은 가시성 | 다양한 서비스 제공
(재능기부, 수업…)
견적을 통한 쉬운 가격 책정 | 구분감이 아쉬운 UI
계정 하나로 역할 통합 필요
비슷하지만 다른 여러가지 기능
혼동을 주는 UI
(고수 탐색, 고수 찾기…) |
사람인-긱
(서경원) | 실시간 랭킹 시스템
인앱 채팅 시스템 | 카테고리의 세분화 | 객관적이지 않은 UI
쓸데없이 많은 정보
Web에 비해 낮은 퀄리티 |
3.
들어가야 할 요소들
[반려용품] → App name : “I{PET}”, “펫마켓”, “반려용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
회원관리 : 로그인, 간편 로그인(SNS)
•
상품관리 :
•
추가기능 :
[재능기부] → App name : “”
•
회원관리 : 로그인, 회원가입, 프로필(포트폴리오)
•
상품관리 : 상품등록, 후기, 검색, 카테고리
•
추가기능 : 채팅, 인앱결제, 찜,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