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5️⃣

심화문제 4~7

04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휘발성 메모리 :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전력이 필요한 메모리 유형.
DRAM(동적 램)
비트(0 또는 1)를 커패시터에 충전하여 저장한다. (1/1000초)
일정 시간마다 전기를 공급해 메모리의 정보를 재생시킨다.
SRAM(정적 램)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면 그 내용이 계속 보존된다
비트(0 또는 1)을 트랜지스터에 저장한다.
비휘발성 메모리 :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내용을 읽을 수 있지만 바꿀 수 없는 메모리
기본적인 운영 체제 기능이나 인터프리터를 내장시키기 위해 사용
정보를 다시 쓰고 지울 수 있는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MASK ROM, PROM, Flash Memory 등)
Flash Memory
MOSFET에 플로팅 게이트라는 구조를 추가하여 생성
NAND(데이터 저장)형과 NOR(코드 저장)형으로 구분된다.

05 DDR SDRAM에 대해 설명하시오

SDRAM이란
발전된 형태의 DRAM.
클록틱(클록펄스)이 발생할 때 마다 데이터를 저장한다.
동기식 DRAM → 요청(클록틱)과 응답(데이터 저장)이 동시에 일어난다
DDR SDRAM이란
SDRAM의 대역폭을 늘려 데이터 입출력 속도를 빠르게 했다.
DDR SDRAM의 경우 대역폭이 SDRAM에 비해서 2배 더 크다
DDR2 SDRAM의 경우 대역폭이 SDRAM에 비해서 4배 더 크다

04, 05 참고

06 스풀에 대해 설명하시오

CPU와 입출력장치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고안된 소프트웨어적인 버퍼. (Simultaneous Peripheral Operation On-Line)
→ 교차해서 동작될 수 없는 장치에 사용
예시) 프린터 출력.
CPU의 처리속도(1초)를 프린터의 처리속도(10초)가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하드디스크에 프린터로 전송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둔다. 프린터가 출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이 CPU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07 즉시 쓰기 방식의 캐시와 지연 쓰기 방식의 캐시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캐시에 있는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반영해야 하는 문제
→ 캐시의 변경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반영하는 데에는 즉시 쓰기와 지연 쓰기가 있다
즉시 쓰기 : 캐시메모리에 있는 데이터가 변경되면 이를 즉시 메인메모리에 반영하는 방식
언제나 메인 메모리에 써야 하므로 성능이 좋지 않다.
지연 쓰기 : 변경된 내용을 캐시 메모리의 블록에 모아서 태그를 해둔다. 태그된 블록시 삭제되기 전에 메인 메모리에 저장한다.
메인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 간의 데이터가 불일치 할 수 있다.
어느 것이 유효한 데이터인지 모른다.
설계, 구현이 어렵다.

즉시쓰기, 지연쓰기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