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이야기 주제
팀 프로젝트를 어떻게 하면 만족스럽게 진행할 수 있을까?
1. 두번째 스프린트 이후로 2주간 일어난 일에 대한 회고 (~9:15)
지난 스프린트 이후로 나에게 의미 있었던 지점 2~3가지를 작성해볼게요. 이 때 좋았던 부분, 성장한 부분뿐만 아니라, 고민할 지점을 줘서 의미있다고 생각한 부분도 좋아요. 지난 스프린트 시간에 진행한 페어프로그래밍을 하고나서의 경험을 적어줘도 좋을것 같아요.
이름 | 2주간 일어난 일 중에 나에게 의미 있었던 지점 2~3가지 |
미주 | - 팀원들과 실습하면서 SwiftUI에 대해 좀 더 이해할 수 있었다.
- 피드백을 통해 앱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킬 수 있었다. |
태성 | - 페어프로그래밍을 통해 같은 기능이라도 다양한 코드로 접근하는 넓은 시야를 경험할 수 있었다.
- 조원들을 직접 만나 이야기를 하며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었다. |
수민 | - 리더 커피챗에서 다른 리더님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눴고, 우리 회고조를 더 잘 이끌기 위한 고민을 많이 했다.
- 조원들이랑 오프라인 만남을 가져서 더 가까워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계산기 프로젝트를 시작해서 로직을 짜는 것의 재미를 제대로 느끼고 있다. |
석진 | - 팀 실습에서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여 장시간 고민하는 일이 있었다.
- 내 아이디어를 생각해내고 다양하 아이디어를 접해볼 수 있었다. |
운상 | - 팀원들과 소통하는 것에 어색함을 느끼지 않게 되었다
- 수업시간에 실습을 통해 팀원들과 다양한 것을 만들어 보았다 |
재희 | - 팀 실습을 진행하면서 문제를 함께 해결해가며 같이 성장하였다.
- SwiftUI에 대해 조금은 더 알게 되었다.
- 초반보다는 팀원들과 소통하는데에 있어 편해졌다. |
유진 | - 실력 부진으로 소극적인 태도에서 머무르기 보다, 내가 할 수 있는 위치에서 조원들과 함께 할 수 있는 활동들을 해나가고자 노력했다. |
2. 상상해봅시다. 팀 프로젝트를 굉장히 만족스럽게 마무리 했습니다. 어떤 부분 때문에 만족스러울까요? 2~3가지를 적어주세요. (~9:50)
이름 | 팀 프로젝트가 만족스러운 경우에 대한 2~3가지 정도를 상상해보기 |
미주 | - 기획했던 기능과 UI가 만족스러울 정도로 구현됐을 경우
- 팀원들과 원만한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진행했을 경우
- 프로젝트 기간동안 적극적으로 참여했을 경우 |
태성 | - 팀원들간의 피드백이 잘 이루어져 완성도 높은 구현물을 만들어낸 경우
- 서로 모르는 것들을 알아가면서 성장했다고 느낄 경우
- 프로젝트 결과물이 유명해지고 잘 되어서 떼돈을 벌 경우 |
수민 | |
석진 | - 커뮤니케이션이 잘 진행되었을 경우
- 프로젝트의 완성도가 높을 경우
- 프로젝트에 많은 기여를 했을 경우 |
운상 | - 기획 단계에서의 목표를 모두 구현했을 경우
-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매끄러운 협업이 이뤄졌을 경우
- 구현 과정에서 많을 것을 배웠다고 느꼈을 경우 |
재희 | - 생각했던 기능들을 다 구현한 경우
- 팀원간의 소통이 잘 되어 마지막까지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마무리한 경우
- 문제나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함께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이로 인해 같이 성장한 것을 느꼈을 때 |
유진 | - 기획 단계에서 탐원들과 구현하고자 했던 기능이 약 80% 이상 구현된 앱
- 팀원 간의 갈등이 부득이하게 발생하더라도 원만하게 해결이 되었을 때
- 모르는 부분은 서로 도와감으로써 팀원 모두가 성장했다고 느낄 경우 |
우리가 상상했을 때 성공적인 팀프로젝트에서 볼 수 있는 요소들을 뽑아봤습니다. 이렇게 중요한것 같은데 어떻게 '잘'할 수 있을지 막연한 것들이 있을 수 있는데요. 이를 최대 3개까지 조별로 뽑아주세요.
중요한것 같은데 어떻게 ‘잘’ 할 수 있을지 막연한 것 공통 키워드 3가지
기능 구현, 협업(커뮤니케이션), 성장
1.
협업(커뮤니케이션)
2.
성장
3.
완성도(기능, UI)
3. 우리 회고팀의 원칙과 규칙을 만들어보자
원칙 최대 3가지, 규칙은 원칙 별로 1~2가지 정도 까지만 만들어보기
원칙이 더 잘 실현되기 위해서 어떤 규칙이 필요할지 1~2가지 정도만 이야기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11시 25분 정도까지 회고팀의 원칙과 규칙을 자유 양식으로 적어보고,
11시 50분까지는 자율 학습으로 활용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7조의 원칙과 규칙
1.
수업 출결, 근태 잘 지키기
•
지각하지 않기
•
8시 55분까지 디코 채팅방에 기상신고하기
•
55분 이후 기상신고 안된 조원에게 전화로 깨워주기
2.
생산적인 회고 모임하기
•
일요일 밤 10시 정기 회고 모임 참석
•
매주 개인적인 작은 목표를 설정하고 회고시간에 평가 및 점검하기
3.
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
주간 설문지 하고 노션에 완료 표시하기
•
어떤 질문이든 나왔을때 오디오 겹침에 신경쓰지 않고, Yes, No, 잠시만요 등 즉시 의사표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