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톤을 끝내고 본격적인 개발에 들어선 여러분!
프로젝트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셨죠?
아래 체크리스트의 항목을 읽어보며, 진행 상황을 파악하고 프로젝트 완성까지 달려보세요! 
아래 체크리스트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매니저에게 DM으로 문의주세요 :)
1. 프로젝트 가이드 (1) : 아이디어 정리
구현할 아이디어가 무엇인지 확실하게 결정하였다.
아이디어를 한 줄로 임팩트 있게 설명할 수 있다.
Wireframe이나 Mock-up을 기반으로 화면 기획(화면 정의서 작성)을 진행하였다.
우리 프로젝트에 적절한 템플릿을 찾아 적용할 준비를 마쳤다.
TIP 1 한 줄 설명을 통해 아이디어의 중심을 잡고 유사 서비스를 조사하여 시장 현황을 파악한다면 우리의 아이디어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TIP 2 와이어프레임 제작 및 목업은 간단해도 좋으니 꼭 해두고 개발을 시작해야합니다.
앞으로 개발하며 길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2. 프로젝트 가이드 (2) : 필요한 기능 선정
구현하고 싶은 기능이 어떤 것인지 결정하고 기능 목록을 상세하게 도출하였다.
많은 기능 중 무엇을 주요 기능으로 할지 결정하였다.
웹 서비스가 어떻게 사용될지, 각 단계별로 어떤 기능을 개발해야 하는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TIP 주요 기능이 너무 어렵다면 현실적으로 구현 가능한 파트부터 개발을 시작해보세요.
구현 가능한 범위 내로 아이디어를 살짝 비트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프로젝트 가이드 (3) : 역할 분담 & 일정 수립
구현해야 하는 여러 기능별로 역할을 분담하였다.
•
기능 별 역할 분배가 어렵다면 멘토님과 논의하며 기능을 나누어보세요!
•
PM, CTO, 인프라, 기획, 개발1, 개발2 와 같이 역할별로 설정을 먼저 해보아도 좋습니다.
백엔드 기능과 DB 스키마를 각각 분배하여 개발 및 작성하였다.
각 팀원의 강점을 고려하여 고르게 역할이 분배되었다.
WBS를 작성하며 각 팀원의 일정 및 역할을 설정하였다.
WBS 템플릿
TIP 적절한 역할 분담은 성공적인 프로젝트의 필수 조건입니다!
4. 프로젝트 가이드 (4) : 개발 기간
개발 환경 구성을 함께 진행하였다.
사용자로부터 어떤 데이터를 입력받을 것인지 정하였다.
입력 받을 데이터의 형태를 정하고 DB 모델을 구상하였다.
사용자 화면 템플릿과 API 기능을 연동하였다.
(필요하다면) 어드민 화면 템플릿과 API 기능을 연동하였다.
TIP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구상부터 기능 개발 및 구현의 시작입니다! 받을 데이터를 꼼꼼히 구상해보세요.
5. 기타 : 개발 전반에 걸친 체크 사항
Git & Gitlab를 활용하여 협업하고 있다.
Git Flow를 활용하여 개발하는 방법도 있어요!
애자일하게 데일리 또는 위클리로 개발 중인 내용을 공유하며 협업하고 있다.
각 단위별로 완성된 기능을 리뷰하여 개선 사항을 발굴하고 있다.
개선 사항에 대해서 추가 개발이 필요한지 논의하고 개발 필요 사항을 작성하여 분배하였다.
멘토님과 주기적으로 개발 진행상황을 체크하고 있다.
TIP 정기 회의와 스크럼, 멘토님과의 프로젝트 체킹은 성공적인 프로젝트 빌딩으로 이끌어줄거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