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 과정 시작하고 1주일간 일어난 일에 대한 회고 ~9:20
내게 배움이 있었나요? 있었다면 어떤 배움이 있었나요? 만약 없었다면 왜 없었을까요?
이름 | 1주일간 내게 있었던 배움 |
김덕훈 | 조원들과 앱 아이디어 나누기, Swift의 배경, 디자인씽킹 |
류창휘 | 다양한 앱에 대한 고민, swift의 역사 |
배동훈 | HTML/CSS, 조원들과의 의사소통, Swift의 배경 |
이학진 | 짧은 시간동안 팀으로 결과를 낸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았고, 앱에 대한 동료들의 다양한 생각을 알게 됨 |
조현호 | 동료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앱을 알 수 있었고 수업을 통하여 모르는 용어를 찾아보았다. (Ex. 객체지향? 컴파일러언어? UI/UX?) Swift의 역사와 디자인에 대한 내용도 흥미로웠다. |
차소민 | 조원들과 소통해서 하나의 결과로 만드는 것. |
허혜민 | 조원들, 동료들과 의사소통하는 경험, 앱을 만들 때 지속적인 피드백이 있어야 한다는 점. |
황예리 | 조원들과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의사소통 능력 키우기, 스스로 공부 루틴 만들어가기 |
2. 전체 교육 과정을 마무리 했을 때 나는 어떤 상태이면 만족스러울까
- 내가 생각하는 앱스쿨 과정을 마무리했을 성장하고 싶은 목표 3가지
- 해당 목표를 달성했지만 불족만스러운 경우 2~3가지
- 해당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만족스러운 경우 2~3가지
김덕훈
류창휘
배동훈
이학진
차소민
허혜민
황예리
조현호
3. 피드백 방법에 대해 피드백 받기
회고6조 회고 목표
6조 공동 목표: 앱 출시하기
한 주간 배운 내용을 토대로 앱 만드는 것에 적용해보기
3-1. 어떻게 하면 해당 목표를 달성해 나가고 있는지를 우리가 알 수 있고, 의미있는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 있을까?
•
회고조 인원이 많은데 어떻게 대화를 나누고 회고 하는게 효율적일까
•
회고하는 빈도수, 아침에 수업 시작시간
일주일에 두번 시간 가지기: 디스코드 참여, 월 목 9시, 참여가 힘든 경우에 주말이나 월요일에 시간 변경 요청하기.
회고시간에 두명씩, 2주에 한번은 회고 참여하는데 우선하고 싶은 지원자는 미리 신청
3-2. 피드백을 주고 받을 팀만의 계획 세워보기
•
시간이 남는다면 남은 시간 동안 작성한 행동 계획 바로 해보기
-공부 정리
팀 노션 - 회고 팀 노션을 만들어 자기가 피드백 받고싶은 내용 미리 올려두기, 추가적인 키워드, 내용 있으면 올려서 함께 정리하기, 질의응답 만들어서
팀 노션 - 공부 정리 노션.
첫 회고때 각자 만들고 싶은 앱 생각해오면 같이 하고 싶은 주제끼리 모여서 사이드프로젝트 만들기.
아이디어 낸 분이 몇명 하면 좋겠다.
3-3. 메이커준에게 피드백 받고 싶은 부분을 1가지 정리해서 공유하기
•
이 때 피드백 받고 싶은 내용을 정리하고 노션에 작성해주세요
6조 피드백 받고 싶은 부분, 궁금한 사항:
•
회고를 진행하는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방법
•
강사님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회고 횟수와 팀원 구성
-키워드
구체적인 피드백
코드리뷰
과정 중에서 힘든 부분을 듣고 싶은지
공통적으로 배우는 내용 나누고, 조원들에게 피드백받고 싶은 내용,
수업을 진행하면서 어려운점 있으면 나누기.
수업내용 + 추가적인부분: 코드리뷰, 깃허브
피드백받고 싶으신 부분
창휘님: 개인적으로 하나의 앱 더 만들어보고 싶다.
기획, 기능 구현 중에서 의견을 듣고 싶다.
차근차근 진행하는 것들을 피드백받고 싶다.
피드백 통해 코드도 추가될 수 있고,
앱 출시 피드백을 받을 때 사용자 입장/ 개발자 입장 나눠서 받으면 좋을 것 같다.
에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