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1-5. Spring Boot 프로젝트 시작하기

앞서 Spring Boot Framework의 인터넷 서비스에서의 역할에 대해서 이야기 했습니다. 이제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Spring Boot 프로젝트의 경우 위의 Spring Initializr 라는 사이트에서 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선택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 각각 살펴보면,
Project: 어떤 프로젝트 관리 도구를 사용할지를 선택하는 옵션입니다. Maven과 Gradle이 존재하는데, Gradle이 현재 더 선호되는 관리 도구입니다.
Language: Spring Boot는 Java가 선호되지만, 다른 언어를, 정확히는 Java Bytecode로 해석되는 언어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Kotlin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Java를 사용합니다.
Spring Boot: 어떤 Spring Boot 버전을 사용할지를 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Spring Boot의 경우 (SNAPSHOT) 이라고 뒤에 붙은 내용은 아직 출시하지 않은 버전입니다. 이쪽은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상용중인 Spring Boot 프로젝트는 2.5.X 버전까지는 무난하게 호환이 이뤄집니다. 2.6.X 이상으로는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강의에서는 2.5.X 버전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 외에 (MX) 등의 표기가 있는것은, 사용하고 계신 맥북의 CPU와는 관계가 없으므로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버전 번호에 대하여
이후 아래쪽을 보면 Project Metadata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Apache Maven의 정의를 따르게 됩니다.
Group: 현재의 프로젝트를 만드는 단체의 도메인을, 역방향으로 작성합니다. 즉, 프로젝트의 주체가 google.com 이라면, Group은 com.google 로 설정하게 됩니다.
Artifact: 현재의 프로젝트의 목적을 나타내는 이름을 작성합니다. 시작하는 프로젝트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나타낼 수 있는 이름 (수학 관련 프로젝트라면 math 등)을 넣어주면 됩니다.
Name: Artifact와 유사한 기능을 하며, 동일하게 작성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Description: 해당 프로젝트의 산출물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작성합니다.
Package name: Group과 Artifact에 따라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Java 패키지 이름입니다.
Packaging: 산출물의 결과가 Jar이냐 War이냐를 결정하는 옵션입니다.
Java: 사용할 Java 버전을 선택합니다.
여기까지는 프로젝트에 대한 추가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항목입니다. 이후 오른쪽을 확인해 봅시다.
이 부분은 현재의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다양한 Spring의 하위 라이브러리를 선택하는 부분입니다. Spring Framework는 그 역사만큼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많은 라이브러리가 존재합니다. 여기서는 일단 Spring Web이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 입니다.
의존성까지 설정했으면, 이후 아래의 Generate 버튼을 누르면 압축 파일의 형태로 다운로드 됩니다.
이 압축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IntelliJ IDEA를 실행해 봅시다.
상기의 버튼, 또는 Open 버튼을 누르고,
해제한 압축파일이 있는 폴더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럼 손쉽게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