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순차 파일 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특징
•
파일 내용이 하나의 긴 줄로 늘어선 형태 - 카세트테이프
•
초기 컴퓨터의 저장장치
원반형 저장장치가 개발되기 전엔 컴퓨터의 모든 파일은 순차 파일 구조로 저장
•
open(), create(), read(), write() 명령 모두 운영체제가 파일 이용 허가를 내리면, 파일 디스크립터가 전진하며 진행, 특정 위치로의 이동은 lseek() 명령
장/단점
장점
•
순서대로 기록되기 떄문에 저장 공간 낭비 없음
•
구조 단순으로 어떠한 저장장치에도 적용 가능
•
순서대로 읽거나 저장 시 매우 빠르게 처리됨
단점
•
새로운 데이터 삽입, 삭제 시 많은 시간 소요
•
특정 데이터로 이동 시 직접 접근이 어려워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이동 - 데이터 검색에 부적합
2. 인덱스 파일 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특징
•
특정 데이터 접근 시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이동해야 하는 순차 파일 구조의 단점 해결
→ 인덱스 테이블 추가하여 순차 접근, 직접 접근 가능
•
디스크를 이용한 저장장치 보급과 함께 개발
•
인덱스를 이용한 접근 방식을 인덱스 순차 접근, 구성된 파일을 ISAM
•
현대의 파일 시스템 구조 - 파일 저장 시 순차 파일 구조로 저장, 파일 접근 시 인덱스 테이블로 접근
장/단점
장점
•
인덱스 테이블 여러 개일 경우 다양한 접근 가능(빠른 접근 필요한 시스템에 사용)
3. 직접 파일 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
저장하려는 데이터의 특정 값에 어떤 관계를 정의하여 물리적인 주소로 바로 변환하는 파일 구조
•
데이터를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직접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 파일 구조
ex) 학번을 10으로 나눈 나머지를 주소로 선정 후 데이터 저장
장/단점
장점
•
데이터 접근 매우 빠름 - 해시 함수 사용
단점
•
전체 데이터가 고르게 저장될 수 있는 해시 함수 선정 어려움
•
저장 공간 낭비로 저장장치 이용 효율 떨어짐
4. 경로의 의미와 종류를 설명하시오.
정의
전체 디렉터리에서의 파일 위치 정보 표시 방법
절대 경로 - 루트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파일의 위치 표시(ex. /program/data/exm.c)
상대 경로 -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파일 위치 표시(ex. ../user/exm.c)
→ cd로 디렉터리 이동
5. 디스크 할당 방식의 연속 할당과 불연속 할당에 대해 설명하시오.
•
파일시스템 구성
→ 전체 디스크 공간을 같은 크기(블록)로 나누고 각 공간에 주소 할당
→ 블록 연결 방법 방법(연속 할당, 불연속 할당)
•
파일시스템 관리 항목
→ 파일 이름, 파일 시작 블록 주소 관리
연속 할당
•
데이터를 디스크상에 연속적으로 배열
•
실제 사용X - 디스크에 남은 공간 중 파일의 크기와 맞는 연속된 공간이 없으면 불가능하기 때문
불연속 할당
•
비어 있는 블록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파일 시스템이 관리
ex) 연결 리스트(연결 할당), 인덱스(인덱스 할당)
6. 디스크의 빈 공간 관리 방법을 설명하시오.
블록 크기 선정의 어려움
→ 디스크의 블록 크기를 크게 잡으면 내부 단편화 발생, 작게 잡으면 많은 양의 블록 포인터 필요
1.
디스크의 내부 단편화 줄이고 빈 공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빈 블록의 정보만 모아놓은 빈 공간 리스트 유지
2.
빈 블록이 생기면 빈 공간 리스트에 추가
a.
파일 테이블의 헤더 삭제 + 사용했던 블록 빈 공간 리스트 등록 ⇒ 파일 삭제로 간주
3.
빈 공간 리스트를 보고 새로운 블록 할당 시 리스트에 먼저 들어온 블록부터 할당
→ 디스크 복구, 휴지통 되살리기 가능
•
파일 시스템의 오류 수정 방법
◦
윈도우 : 디스크 오류 검사(chkdsk)
◦
유닉스 : fs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