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이란?
•
소스코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
Git을 왜 사용하나?
•
소스 코드의 변경 이력을 쉽게 확인 가능하다.
•
특정 시점에 저장된 버전과 비교하거나 특정 시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Remote Repository / Local Repository 차이
Remote Repository
•
GitHub, Bitbucket 과 같이 인터넷에서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Repository
Local Repository
•
내 PC 내의 저장 공간
•
어떤 서버가 될 수도 있다.
Source Tree와 GitHub을 활용한 Git 이용
1.
GitHub에서 Remote Repository 생성
Repository의 이름을 설정하고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README 파일을 생성해서 Repository에 대한 설명을 더할 수 있다.
2.
SourceTree에서 Local Repository를 생성한다.
내 PC 내의 디렉토리를 설정해서 Local Repository를 생성한다.
생성 후 디렉토리를 설정해준다.
터미널에서 ls -a 명령어로 .git/ 이 있음을 확인한다.
.git/ 이 있으면 Local Repository이다.
3.
Remote Repository 와 Local Repository 를 연결한다
SoureceTree의 설정 → 추가
GitHub의 Remote Repository 주소를 넣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