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네번째 스프린트

Date
2022/11/28

 오늘 나눌 이야기

학습 전략 개선 방법: 공부할 게 너무 많다. 이럴 때 어떻게 학습 전략을 짜는 게 좋을까?
의미 있었던 지점, 경험, 기억 2~3가지를 작성해볼게요. 이때 학습 전략 개선 방법과 관련된 기억을 적어주면 더 좋을것 같아요
이름
지난 스프린트 이후로 일어난 일 중에 나에게 의미 있었던 학습 전략, 아쉬웠던 전략 등 관련한 경험
미주
- 공부한 것들을 노션에 정리하여 볼 수 있게 했다. - 모르는 부분은 팀원들에게 질문하여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태성
- 네트워크 앱개발 실습을 하면서 이해를 완벽히 하지는 못했지만 많이 성장한 것 같다. - 다양한 프로토타입 아이디어를 보면서 아이디어 시각을 넓힐 수 있었다.
수민
- 코드 스니펫을 만들기 시작했다. 에러, 이슈로그를 정리하고 있다.
석진
- 문제를 같이 해결할때 이유를 먼저 말씀드리고 해결법을 말씀 드린다. - 모르는 것을 질문 받았을때 학습하면서 최대한 답변을 해드리고자 노력하였다.
운상
- 다른 동료들이 작성한 코드를 살펴본 것
재희
- 프로토타입을 하며 다양한 동료들을 만났고, 페어프로그래밍을 하며 많이 배웠고 성장한 느낌을 받았다. - 팀 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하였고 모르는 부분을 동료들에게 질문하며 해결하였다.
유진
- 예전보다 질문을 적극적인 태도로 할 수 있게 되었다. - 코딩을 잘 못한다고 해서 소극적으로 참여하기 보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찾아 최대한 참여하고자 노력했다.

 나의 학습 경험 되돌아보고 키워드 뽑기 (~10:15)

이름
학습 경험 되돌아보고 키워드를 뽑아보기
이름1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니 기억에 남고 의미있었던 강의, 학습 방법, 교육 경험 3개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니 나에게 별로 도움이 안됐던 강의, 학습 방법, 교육 경험 3개  2개의 차이를 만드는 키워드 3개
미주
의미 있었던 경험 1. 알고리즘 풀 때 손코딩 먼저 해보기 2. 친구랑 서로 모르는 거 알려주면서 공부하기 도움이 안됐던 경험 1. 온라인 강의 2. 이론 위주의 공부 2개의 차이를 만드는 키워드 1. 능동적 학습 2. 메타인지
태성
1. 매주 회고를 통해 자신을 되돌아보고 성장할 수 있었다. 2. 야곰아카데미를 통해 컴퓨팅 사고력을 기를 수 있었다. 3. 박종욱 강사님의 강의를 통해 애플과 스위프트의 탄생 이야기를 알 수 있었다. 1. 코딩공부를 직접 치지않고 그냥 책만 봤을때 빠르게 기억에서 삭제되었다. 2. 패x스캠퍼스 강의를 봤는데 교육과정이 별로 도움이 안되었다. 3. 책에서 하고싶은 부분만봐서 다 완독하지 못했다. 키워드 1. 직접 해보기 2. 자신을 되돌아보기 3. 하고싶은것만 하지 않기
수민
의미 있었던 경험 1. 이노베이션캠프(항해99 같은거) : 매주 과제와 기본적인 학습자료가 주어지고 자기주도학습으로 과제를 해결했어야 함 2. 가벼운학습지 1일 1권하기 : 자습하는 거였지만, 3달안에 무조건 끝내겠다고 생각했고, 매일 스티커 붙여가면서 기간내에 끝났다. 3. 엘리스코딩에서 실습형 코딩학습 : 이론으로 배우기만 하는게 아니라 계속 지속/반복적으로 코드를 치고 연습하고 훈련하면서 공부했음 4. 영단기 토익학원 : 매일 오전에 LC 시험보고, 오후에 RC 시험, 수업 이후 단어 쪽지시험, 월말 모의고사를 보면서 매일 실력이 향상되는게 눈에 보였음 의미없던 경험 1. 모든 종류의 인강 : 처음에는 의욕적이게 보지만, 강사와 소통도 안되고 점점 집중력이 떨어지면서 틀어놓고 딴짓하는 시간이 많아지다가 안봄 2. 책을 읽어주는 방식의 실강 : 강의자가 학생들과 소통하지 않고 혼자 준비해온 강의자료만 줄줄 읊는 방식의 수업..고1때 수학수업… 3. 혼자 마감일도 없이 공부하는 거 : 일단 의욕적으로 시작했어도 마감일이 없으면 꾸준히 하기 힘들고 점점 우선 순위에서 밀려나다가 안하게 됨 차이를 만드는 키워드 : 실습, 마감기한, 지속적인 실력평가, 강의자와의 상호작용
석진
의미있었던 경험 1. 실습 직접해보기, 손으로 따라 적기 2. 알려주기 3. 이해하기 도움이 안됐던 경험 1. 강의 보기만 하기 2. 필요하겠지? 생각하고 구입한 강의 차이를 만드는 키워드 1. 직접 경험하기 2. 이해하기
운상
의미 있었던 것 1. 잘 몰라도 일단 코드를 손으로 직접 따라쳐보기 2. 끝까지 이해하기 위해 집착하지 않기 3. 반복적으로 읽기 도움 안됐던 것 1. 무작정 기록하기 2. 학습 목표를 거시적으로 수립하기 3. 강의를 눈으로만 보기 차이를 만드는 키워드 1. 직접 하기 2. 반복 하기 3. 집착하지 않기
재희
1. - 대학 수업중 과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도전하고 끈기있게 해결하려고 했던 경험 - 내가 원하고 하고싶어서 영어시험공부 시작했던 경험 - 혼자 학습할때보다 동료들과 같이 공부했었을 때 - 내가 아는 부분을 설명해주며 더욱 명확해지고 더 깊게 이해하게 되었다. - 이해가 안돼는 부분을 무턱대고 외운다기보다는 이해하고 외워야 오래 기억이 남았다. 2. - 어릴때 다닌 피아노 학원 … 재미가 없었음 - 코딩공부할때 눈으로만 익히고 직접 손으로 작성안해봤던 학습법 - 다들 한다니까 따라서 결제한 온라인 강의 3. - 재미/ 흥미 - 내가 얼마나 능동적으로 학습했는지 - 꾸준함
유진
의미있었던 경험 1. 내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실현 가능한 코딩을 구현하려고 했던 경험 2. 중.고등학생 때 배운 과목을 나의 언어로 정리하며 공부했던 경험 3. 회고조원들과 함께 하는 알고리즘 기초 스터디 도움이 안됐던 경험 1. 왜 듣는지 이유를 모르고 들었던 강의 2. 주제,문제에 대한 이해보다 무조건적인 암기를 강요받았던 강의 3. 코딩 공부를 혼자 하는데 이해가 안되서 진척이 나가지 않았던 경험 둘의 차이를 만드는 키워드 → 자발성, 이해, 동료

 공감이 갔던 키워드

재미, 능동적 학습, 반복 숙달, 나에게 왜 필요한것인지 깨닫기같이 하기, 꾸준함, 좋은 멘토, 내가 모르는 부분을 정확하게 찾기, 완벽에 대한 집착 지양 ⇒ 이 코드를 그래서 내가 왜 작성하는건지